정부는 전 국민이 공교육을 통해 디지털 기초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초·중등 정보수업을 두 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5년간 총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21일 교육부 등 관계부처는 전 국민의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와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디지털 인재 종합방안(종합방안)’을 마련·발표했다.
디지털 분야 인재양성 규모는 지난해 정부 재정사업 기준 약 9만 9000명(석·박사급 1만 7000명)이다. 향후 5년(2022~2026년)간 인재 수요는 약 73만 8000명(초급 9만·중급 52만·고급 12만8000명)으로 예상된다.
우선, 디지털 교육 저변 확대를 위해 초·중등 정보교육 수업시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초·중등 정보수업을 두 배(초등 34시간·중등 68시간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교육 과정에서는 코딩 등 정보 관련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2년간 17시간, 중학교 3년간 34시간이 배정돼 있다. 이는 2022개정교육과정을 통해 전면 추진 적용 될 예정이다. 또, 학교가 자율적으로 정보시수를 증배·확보할 수 있도록 시행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는 ‘정보선택과목’을 도입하고, 중·고등학교에는 ‘학교장 개설과목’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초·중학교에 컴퓨터 언어(코딩)교육을 필수화해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도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중심고등학교(180교), 방학 중(방과 후) 디지털 캠프 지원, 온라인 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 과정 지원 등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기회를 여러모로 확대한다. 다양한 디지털 교육·경험·자격을 증명하는 ‘디지털 배지’도 부여할 계획이다.
디지털 인재 조기 확보 등 디지털 분야 영재 육성에도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특화교육과정을 시범운영하고, 영재학급도 2025년까지 70여 개 정도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디지털 분야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현재 6개교에서 권역별 21~2개교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디지털 분야 취업맞춤특기병을 확대해 병역 중 역량을 지속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반도체학과 이외 비전공 대학(원)생도 반도체 융합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반도 집중 연계교육과정(부트캠프)을 내년부터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4년제 학생 예상 교육 경로를 가상할 시, 1학년 때는 ‘진로 및 탐색’, 2·3학년 때는 ‘수요자 맞춤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4학년 한 학기 또는 1년 동안 ‘부트캠프’를 이수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수한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학점을 인정하고 이수 학생에게 대학 자율에 따라 ‘마이크로 디그리’ 부여를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과 사업·연구를 총괄 지원하는 전문기관을 설립 및 지정하고 디지털 인재 연합체를 구성해 민관 개방형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우수 유학생과 해외 인재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도 할 예정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디지털 인재들이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