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월 기준 실질임금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고용노동부는 28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5월 근로실태)’ 결과에서 5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59만2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5.1% 증가했다고 밝혔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5.4%)을 고려한 실질임금 증가율은 –0.3%로,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마저 상용직은 실질임금 감소율이 0.1%에 그쳤지만, 임시·일용직은 임금총액이 2.7% 증가에 그치면서 실질임금은 2.7%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511만1000원으로 8.1% 증가했지만, 300인 미만 사업체는 4.1% 증가에 그쳤다. 300인 미만에서만 실질임금은 2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정향숙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300인 이상만 실질임금 상싱률이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며 “300인 이상은 임금협상 타결에 따른 성과급 확대 등 영향으로 특별급여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액총액 상승률도 높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1~5월 누계 월평균 임금총액도 300인 이상은 618만8000원으로 10.0% 늘었지만, 300인 미만은 342만7000원으로 4.5% 느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누계 물가 상승률은 4.3%였다. 이에 따라 300인 이상 사업체의 실질임금은 5.7% 증가했지만, 300인 미만은 0.2% 증가에 그쳤다. 고물가가 이어지면 6~7월 중 300인 미만 사업체의 실질임금은 누계 기준으로도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근로자의 1~5월 누계 실질임금 증가율도 1.5%로 하락세다.
물가 급등으로 실질임금 감소가 발생하면서 임금 상승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빈 일자리 수는 6월 23만4000개로 2018년 2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노동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되면서 일자리 공급량은 늘었지만, 수요가 그만큼 뒤따라주지 않은 탓이다. 고물가로 인한 임금 상승 압력에 구인난에 따른 사업체 간 인력 수급 경쟁이 심화하면 그 결과로 전반적인 임금 상승률이 높아질 여지가 있다.
정부로선 고민이 크다. 가파른 임금 인상은 추가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그렇다고 임금을 통제하면 고물가로 실질임금이 줄게 된다. 최선은 물가 상승률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과도한 임금 인상을 통제하는 것이지만, 현재로선 물과 관리 수단이 마땅치 않다.
정 과장은 “정부와 경영계에서는 과도한 임금 인상에 대한 것이라든지, 높은 물가 상승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들을 마련해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며 “여기에 대해서는 아직은 좀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