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기술이 농기계 산업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관련 기술 확보 및 시장 형성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3일 ‘농기계 산업으로 확대되는 미래차 기술’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미래차 기술의 농기계 적용이 농업 생산성 개선 및 탄소배출 저감의 대안으로 부상 중이라고 분석했다. 농기계에 자율주행·전동화 기술을 적용하면 노동 집약적인 농업의 생산성을 근본적으로 높이고 농산물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 배출을 낮춰 친환경 농업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외 농기계 시장은 1000억 달러 규모이며 전동화·자율주행 기술 적용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기계 시장은 트랙터와 수확기가 중심이며, 연평균 4% 성장해 2027년에는 126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농기계 시장의 규모는 작년 기준 2.3조 원 수준으로 추산되며, 농가 인구 고령화 및 영농 규모 부족 문제 지속에 따라 농기계 도입 확대를 통한 시장 성장 동력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농기계 자율주행은 작업환경 인식 및 최적 경로 생성·추종이 핵심으로 레벨 2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레벨 2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고, 국내 기업들은 내년부터 상용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기계 전동화는 높은 전력 소비 대응 및 외부 충격·합선에 대비한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농기계는 기본적인 주행 외에도 다양한 동력 전달 작업을 수행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많고, 작업 도중에는 외부 충전이 어려워 충분한 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다. 또 고르지 못한 농지 주행 시 발생하는 각종 충격과 수분 유입으로 인한 합선 등의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
이에 해외 선진 기업들은 전기 트랙터 프로토타입 모델을 공개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공동 연구 및 협업을 통해 소형 모빌리티용 전동화 기술을 확보한 후 농기계에 확대 적용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연구원은 농업에 특화된 자율주행·전동화 기술 확보 및 관련 시장 형성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농업 환경에 특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타 분야 기술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며 “미래 농기계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한 보조금 지원 및 기존 노후 농기계 교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