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촉발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국내 물가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3일 발간한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국내 전가와 시사점' 자료에서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으며, 주요국과 국내에서 근원 인플레이션의 기여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근원 인플레이션은 가격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이며,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준다.
주요 20개국(G20)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이후 평균 약 5.3%로, 코로나19 이전 기간(2015~19년)의 2.73%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로 지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5월 각각 8.6%, 8.1%를 기록했으며, 브라질, 러시아 등의 신흥국에서도 10% 이상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KIEP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에너지 및 식료품에 국한되지 않고 근원 품목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이는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도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6.0% 증가해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근원 품목과 에너지 및 식료품의 기여도는 각각 3%포인트(P), 3.05%(P)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KIEP는 "우리나라 37개 무역상대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1%P씩 동시에 증가할 경우, 같은 분기에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24%P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해외 생산자물가(상품 기준) 상승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전가 효과는 3개월 이내에 대부분 반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수입 상위 9개 국가(중국, 미국, 일본, 호주, 독일, 러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가 총수입액의 80%를 차지했다"며 "이 국가들의 생산자물가 및 수출물가 동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해외물가 상승으로 인한 국내 인플레이션 위험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원자재 중심의 수입물가 상승 전가 효과가 국내 근원물가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KIEP는 "5월 기준 수입물가 상승률의 품목별 기여도는 공산품, 광산품, 농림수산품 순으로 높았으며, 수입물가 상승이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컸다"며 "최근 가격이 급등한 수입 광산품 품목은 국내 공업제품 가격으로 전가되는 효과가 크고 국내 근원물가 상승률에 대한 상품의 기여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이는 국내 근원물가 상승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에 에너지뿐만 아니라 근원물가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해외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경우 국내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