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물가 고공행진의 원인으로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손꼽히는 가운데 국민 1인당 폐기 농식품이 연간 1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해 유통 과정에서 버려지는 농식품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4인 가구 식비 지출은 월평균 106만6902원으로 1년 전보다 9.7%가 증가했다. 식비 증가의 원인에는 항상 농식품 가격 상승이 언급된다.
배추와 시금치, 무 등 채소 가격은 지난해 대비 큰 오름폭을 보이고 있다. 4일 기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 가격정보에 따르면 배추 1포기 소매 가격은 4427원으로 1년 전 3216원에서 약 37%가 올랐고, 시금치는 53%, 무는 30% 등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버려지는 농식품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21년 음식물류 폐기물 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정에서 발생하는 1인당 농식품 폐기량이 연간 71㎏으로 집계됐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74.7㎏)보다는 낮지만 일본(64㎏), 중국(64㎏)보다는 10% 이상 많다. 여기에 외식업(26㎏)과 소매업(13㎏) 부문까지 더하면 연간 약 100㎏의 농식품을 폐기하는 셈이다.
통계청의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보고서 2022'에서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평균 음식물 폐기량은 2011년 311.3g에서 2016년 367.95g으로 증가했다.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차원이 아닌 가공과 유통 과정에서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식품 유통 및 소비단계 폐기물 감축방안' 보고서에서 국내 공급된 농식품 가운데 최종적으로 소비되지 못한 채 유통·조리·보관 과정 등에서 폐기되는 비율이 14% 상당으로 경제적 비용은 20조 원이라고 분석했다.
홍연아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농식품 폐기는 소비에 적합한 농식품이 수확 이후 가공·유통·소비 단계에서 부주의에 의해 혹은 의도적으로 버려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며 "폐기물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방하는 사전적 문제해결 방식으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농식품 폐기 방지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는 산지·농가에서 구매자를 찾지 못해 버려지기를 기다리는 신선농산물과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가공식품의 재분배 네트워크 활성화를 꼽을 수 있다"며 "민간주체의 자발적 참여와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마련, 농식품 날짜 표기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