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코노미] 꿀벌 실종이 불러온 나비효과...넷플릭스 ‘부패의 맛’

입력 2022-06-24 16: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코노미는 넷플릭스와 왓챠 등 OTT(Over The Top) 서비스에 있는 콘텐츠를 통해 경제와 사회를 바라봅니다. 영화, 드라마, TV 쇼 등 여러 장르의 트렌디한 콘텐츠를 보며 어려운 경제를 재미있게 풀어내겠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벌집에서 사라지는 벌꿀이 사라지는 ‘군집 붕괴 현상’(CCD·Colony Collapse Disorder)이 2006년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처음 확인됐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보고됐다. 벌들이 사라지면서 꿀 생산량 역시 감소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하다. 꿀 생산량은 줄어드는데 소비량은 오히려 늘어나고, 그 수요는 여전히 충족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졌다.

미국의 1년 꿀 생산량은 약 7만2000 톤. 그런데 소비량은 여전히 20만 톤에 달한다. 생산량에 비해 소비량이 약 3배가량 많다. 꿀을 수입해왔기에 가능한 걸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우리가 먹는 꿀의 대부분은 사실 ‘진짜 꿀’이 아니다. 중국 등에서 꿀에 값싼 사탕수수·옥수수 시럽 등을 희석해 ‘가짜 꿀’을 만들어 수출하고 있다.

가짜 꿀이 수입되면서 미국의 양봉업계는 몰락하는 또 다른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에 미국 농부들은 시럽이 들어간 가짜 꿀을 가려낼 수 있는 검사법을 개발해냈다. 그러나 업자들은 가짜 꿀에 꽃가루를 주입하는 등 품질 검사를 통과할 방법을 교묘하게 개발해 시장을 교란시킨다. 결국 소비자는 품질이 낮은 ‘가짜 꿀’을 먹게 된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부패의 맛’이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부패의 맛’ 포스터. (사진=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부패의 맛’ 포스터. (사진=넷플릭스 제공)
‘부패의 맛’은 인간이 먹고 마시는 먹거리 뒤에 숨은 부패와 추악한 진실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그중 시즌1의 첫 번째 시리즈인 ‘꿀먹은 사회정의’는 꿀에 숨겨진 진실을 파헤친다. 수년 전부터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다. 문제는 군집 붕괴 현상이 단순히 한 개체의 멸종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짜 꿀이 유통되는 건 꿀벌 실종이 불러온 나비효과 중 극히 일부일 뿐이다.

꿀벌이 없는 세상에서 인간도 살 수 없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꿀벌을 통해 수분(꽃가루받이)을 하던 꽃과 나무들이 열매를 맺기가 어려워지며 식량 생산에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인간이 먹기 위해 기르는 작물 종의 약 75%가 꿀벌이나 나비와 같은 화분 매개 동물의 수분에 의존하고 있다. 전 세계 작물 생산량의 35%가 꿀벌에 의존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사무엘 마이어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 교수 연구팀은 2015년 국제학술지 ‘랜싯’에 꿀벌이 사라지면 식량난과 영양실조로 한 해 142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그런 꿀벌이 한국에서도 점차 줄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겨울에만 국내에서 월동 중인 사육 꿀벌 약 78억 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이는 전체(240만 봉군·약 480억 마리) 사육 꿀벌의 16%가 넘는 수준이다. 특히 동양 꿀벌인 토종벌 사육 군수는 2009년 38만3418마리에서 2020년 9만8076마리로 74.4% 급감했다.

꿀벌 실종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꼽고 있다. 겨울에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나면서 월동 중이던 꿀벌이 외부 활동을 시작했다가 기온이 낮아지며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폐사했다는 것이다. 또 평균기온이 오르면서 꿀벌응애 등의 기생충 등이 더 번성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최근 과학계는 살충제에 주목하고 있다. 담배 성분인 니코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이용해 만든 살충제가 꿀벌 신경을 교란시켜 개체 수를 급감시킨다는 것이다. 201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8개국에서 생산한 꿀 표본 조사 결과 75%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이 검출됐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유럽연합(EU)은 2018년 이 살충제의 사용을 제한했고,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도 올해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꿀벌 실종으로 인한 나비효과는 이미 시작됐다. 최근 국내에서는 수박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 꿀벌 감소가 꼽힌다. 꿀벌이 줄어들면서 수분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다. 꿀벌 대신 사람이 인공 수분을 해야 하는데, 성공률이 더 낮고 기형 과실 비율이 올라간다고 한다. 사람을 써야 해서 인건비도 오를 수밖에 없다.

가을에 수확하는 사과와 배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꿀벌 실종 사태가 식탁 물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2008년 국제 환경 단체 ‘어스워치’는 지구에서 절대로 사라지면 안 될 다섯 가지 생물을 꼽았는데, 꿀벌이 1등을 차지했다. 꿀벌이 사라지면 식량도 사라지기 때문에 가장 ‘대체 불가능’한 종으로 꼽힌 것이다. 꿀벌은 1초에 200번 날갯짓을 하며 5㎞ 밖까지 날아가 하루 1만 개의 꽃송이를 찾는다. 부지런한 꿀벌이 인간을 먹여 살리고 있다. 이제 인간이 꿀벌을 살릴 차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3: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997,000
    • +5.64%
    • 이더리움
    • 4,449,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615,500
    • +3.36%
    • 리플
    • 828
    • +4.28%
    • 솔라나
    • 291,200
    • +3.45%
    • 에이다
    • 825
    • +5.63%
    • 이오스
    • 803
    • +11.37%
    • 트론
    • 232
    • +3.57%
    • 스텔라루멘
    • 157
    • +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350
    • +6.16%
    • 체인링크
    • 19,910
    • +0.25%
    • 샌드박스
    • 419
    • +8.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