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우의 사육기간을 줄여 사료비 부담을 줄이고, 온실가스 발생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사육기간을 줄이기 위해 송아지 때부터 유전정보를 분석해 분류하고, 단기 사육 프로그램 개발, 유통·소비 구조 개선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유전형질에 따른 최적 출하월령 산출 및 사육기간 단축을 위한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현재 한우는 약 30개월의 사육 기간을 거친다. 2000년에는 약 23개월을 사육했지만 한우의 고급화 전략에 따라 마블링 등 고품질 생산을 위해 사육 기간이 점점 길어졌다.
그 결과 한우의 품질은 향상 됐지만 반면 농가의 생산비는 증가했고 소비자의 가격 부담도 커졌다. 또 환경 측면에서는 장기 사육에 따른 분뇨와 온실가스 발생량 증가 등 부작둉도 발생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소 적정 사육기간을 현재 30개월에서 최대 24개월까지 줄이겠다는 목표다. 이 경우 6개월의 사육기간이 감소하면 사료비는 100만 원이 절감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25%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산 소고기의 가격도 합리적인 선에서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육기간 단축을 위해 농식품부는 먼저 송아지 유전능력을 평가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에서는 6개월령 송아지 600마리를 육질형·육량형으로 구분해 입식하고, 이들 송아지를 대상으로 24~30개월령 사육기간에 맞춰 실증시험을 진행한다.
유전형질에 따라 육질형은 1++ 등급 출하가 가능한 개체, 육량형은 1등급 내외로 출하가 가능해 각각 최대 26개월, 24개월까지 사육해 출하한다는 목표다.
이 실증시험을 토대로 한우 단기 사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단기 출하육 유통·소비 구조 개선, 마케팅 전략, 시장성 확대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최종 시험성적 등을 바탕으로 소 단기사육 모델을 마련하고, 2025년부터는 농가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날 경기 안성 농협 안성목장에서 시범사업 착수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보는 기념식에서 "최근 국내외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곡물가 불안정으로 농가 경영부담은 가중되는 상황"이라며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이 이러한 도전과제를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소 산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