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도 대학·싱크탱크 중심으로 70개사 이상이 시험 참가
기업 부담 우려·휴식보다 더 많은 소득 중요 등 반대 목소리도
주4일제 논의가 활발해진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을 계기로 일하는 방법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계기가 됐다. 그러나 서비스업 등 일부 업종에서는 새 인력 확보 등 부담이 생긴다며 경계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스페인 중도 좌파 페드로 산체스 정권은 노조 목소리를 받아 올해 사원 수 10명 미만부터 수백 명 사이 기업 약 200개사를 대상으로 주4일제 시험을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기간은 3년이며 급여를 유지하는 한편 주 근무시간을 40시간에서 32시간으로 줄인다. 참가 기업들은 정부로부터 사원 1인당 연평균 2000~3000유로(약 270만~404만 원)를 보조금으로 받는다.
영국은 컨설팅과 소프트웨어, 화장품 부문에서 70여 개사가 6월부터 6개월간 주4일제를 시험 도입한다. 급여는 원칙적으로 바꾸지 않으며 생산성이나 사원의 근무 의욕 등에 변화가 있는지를 케임브리지대와 옥스퍼드대, 싱크탱크 오토노미 등이 자세히 조사한다. 오토노미의 잭 켈럼 애널리스트는 “의료와 교육 분야 등에서 주4일제를 도입하면 직원 수를 늘려야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는 서비스 향상에 대한 투자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벨기에 정부도 2월 15일 주4일제를 직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노동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단 개정안은 휴일을 하루 늘리는 대신 하루 근로시간도 늘려 총 근무시간은 바꾸지 않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 에너지 대기업 토탈의 파트리크 푸얀 최고경영자(CEO)는 1월 “코로나19에 의한 재택근무를 계기로 주4일제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포르투갈 정부도 도입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아이슬란드는 2015~19년 정부가 주도해 노동인구의 1%에 해당하는 약 2500명을 대상으로 주4일제 시험을 실시해 참가 기업의 생산성은 떨어지지 않고 가정 내 가사 분담이 진행되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여전히 주4일제는 현시점에서 평가가 확실하게 내려지지는 않았으며 종업원이나 기업, 정부 모두 모색 단계에 있다.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세계적인 인적자원(HR) 솔루션 기업 아데코가 미국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가량은 “근무시간을 늘려서라도 급여를 올리고 싶다”고 답했다. 프랑스 ESCP비즈니스스쿨의 장마르크 다니엘 명예교수는 “프랑스처럼 국내 생산이 부족해 수입으로 보충하는 국가는 노동시간을 줄이면 무역적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