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신속항원검사를 위한 자가진단키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약국과 편의점에서만 판매하다 보니 편의 시설이 부족한 농촌은 이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확진자 급증에 코로나19 검사 체계를 자가진단키트 활용으로 전환했다. 자가진단키트 양성 반응자에 한해 유전자증폭검사(PCR)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가진단키트 품귀를 막기 위해 1인당 구매 개수를 제한하고 판매처는 약국과 편의점으로 한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역 지침을 지키는 것이 농촌에서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약국과 편의점이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접근성도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토연구원의 '한국형 복합결핍지수'를 활용한 생활 사회간접시설(SOC) 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국 3493개 읍·면·동 가운데 병·의원, 약국, 식료품점, 편의점이 하나도 없는 곳이 88곳에 달했다. 면 지역이 대부분으로 농촌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한 농민은 "주변에서 약국이나 편의점을 찾기도 어렵고, 선별진료소에서 자가진단키트를 무료로 받는 방법도 있지만 교통이 불편해 읍내까지 나가는 것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농촌지역을 고려한 자가진단키트 수급 방안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전북 임실군의 경우 전 군민을 대상으로 자가진단키트를 무상으로 지급하고 마을방문검사를 실시했다. 임실군은 노인들이 읍·면사무소나 보건진료소 등으로 나오는 것이 힘들다고 판단해 직접 찾아가 사용법을 안내하고 검사를 진행했다.
이 같은 무상 지급을 비롯해 지역 특성을 고려해 자가진단키트의 판매처를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높은 농협과 우체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