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소재 민관협의체가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안을 도출했다. 이번 개선안이 미래 고부가 산업의 핵심인 탄소소재 업계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22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는 최근 탄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및 제도의 개선안 14건을 도출했다.
이번에 얼라이언스가 도출한 개선안에는 △필터제품의 활성탄에 대한 시험평가 규정ㆍ시스템 개선 △ 탄소소재 부산물에 대한 재활용 허가 절차 간소화, 재활용 시 비용 지원 및 세제 감면 △활성탄 제조 분야를 국가 보안 산업으로 지정해 지원 △국내 의료기기의 나노 탄소물질 안정성에 대한 인증절차 마련 등이 담겼다.
앞으로 안건들을 구체화해 국무조정실, 산업통상자원부, 과기정통부, 금융위, 중기부, 국토부 등 관계 부처에 제출할 계획이다.
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는 탄소소재의 수요 확대와 신시장을 창출하기 위한 민ㆍ관 정책협의체로 지난해 출범했다.
산업부,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장, 한국탄소산업진흥원장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유니슨, 한국화이바, 대우건설, 한화시스템, 코오롱미래기술원, LX하우시스, 효성첨단소재, 포스코케미칼 등 민간 기업들로 이뤄져 있다.
탄소산업이란 탄소섬유, 인조흑연, 활성탄소,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 등 고부가 탄소 소재를 바탕으로 부품ㆍ중간재를 만들고 제품의 성능 극대화와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산업이다. 특히 모빌리티, 에너지ㆍ환경, 라이프케어, 방산ㆍ우주, 건설 등 미래 유망 산업들에 적용된다.
국내 업체들은 탄소소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연구ㆍ개발(R&D)과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탄소소재 수요는 1만8480톤(t)가량으로 추정된다. 탄소산업진흥원은 2030년께 이 수요가 약 32만2000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연평균 약 33%의 성장세다.
효성첨단소재는 국내에서 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로 꼽힌다. 탄소섬유는 수소차의 연료탱크를 제조하는 핵심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음극재 소재인 인조흑연의 경우 포스코케미칼이 생산체제를 구축 중이다.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연산 1만6000톤(t) 규모로 조성한다.
SK㈜도 최근 미국의 모놀리스(Monolith)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청록수소 생성 과정에서 타이어의 주성분인 카본블랙, 제철용 코크스, 전기차 배터리용 인조흑연 등으로 가공이 가능한 친환경 고체탄소를 만들 계획이다.
금호석유화학은 이차전지용 탄소나노튜브 소재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연구ㆍ개발과 품질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이차전지의 핵심 도전재로 전기와 전자의 흐름을 돕는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