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계가 올해 56조 7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 정부는 반도체 전문 교육과정을 신설해 매년 12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해 업계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롯데호텔에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투자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협회는 올해 반도체 산업계가 전년(51.6조원) 대비 10% 증가한 56조 7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소부장과 후공정 분야 중소·중견 기업은 1조 8000억 원, 팹리스·전력반도체 등 시스템반도체 분야 중소·중견기업은 1조 30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중소·중견기업의 투자도 반도체 산업 전반의 활성화에 힘을 보탠다.
아울러 참여한 기업들은 인력, 시설투자, 연구개발 등에 관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
이정배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은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서 이기기 위해 우수한 전문인력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대학의 학생·교수 정원에 구애받지 않고 반도체 고급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정책지원을 요청했다.
이어 대규모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등 해외 사례를 검토해 다른 나라에 뒤지지 않는 인프라, 자금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건의했다.
이에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올해까지 700여명의 반도체 관련 대학 정원을 늘리고, 올해에는 반도체 전문 교육과정을 신설해 매년 1200명의 전문인력을 길러내겠다”며 “반도체 기술 경쟁의 핵심인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AI반도체, 전력반도체, 첨단소부장, 패키징 등 주요 분야별로 전문화된 ‘반도체 대학원’을 지정하고 10년 이상 집중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업계가 고용 창출, 생태계와 공급망 강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만큼, 정부도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전기·용수·테스트베드 등 반도체 특화단지 기반 시설에 대한 과감한 대응 투자를 지원하고, 관계부처, 지자체가 참여하는 ‘반도체 투자지원기구’를 상설화해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을 적극적으로 풀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주요국, 기업 간 공급망 재편과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러시아-우크라이나발 지정학 리스크, 원자재 가격 상승,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등으로 반도체 공급망 충격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환경 변화에 경각심을 가지고, 정부와 산업계가 힘을 모아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