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코로나 속 흥행 한계…일부 온라인만 '올림픽 특수' 효과 기대
금융투자업계가 4일 개막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주목하고 있다. 통상 올림픽 개최국의 주가지수가 오르는 경향을 보여오면서 투자자들의 시선도 중국주에 쏠리고 있다.
역대 올림픽 개최국의 주가는 대부분 상승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내놓은 월스트리트저널의 분석에 따르면 1988년 이래 열린 다섯 번의 하계올림픽 가운데 1992년 스페인을 제외한 개최국의 주가는 해당 연도에 모두 올랐다.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코스피 지수는 6개월간 올라 1000선을 웃돌았다. 1996년 미국과 2004년 그리스의 주가는 올림픽을 개최한 해에 각각 26%, 23% 상승했다.
동계올림픽도 개최국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대신증권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개최국을 분석한 결과(1988~2010년)에 따르면 대회 기간에 개최국의 주가지수는 평균 1.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가 하락한 곳은 1994년 노르웨이(-4.42%)와 1998년 일본(-1.67%) 두 곳에 불과했다.
1992년 프랑스(5.41%), 2002년 미국(3.56%), 2006년 이탈리아(2.83%), 2010년 캐나다(2.25%) 등의 주가가 상승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에도 코스피 지수는 대회 기간 4% 올랐다.
그러나 이번 베이징 올림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속에 치러지는 두 번째 올림픽으로 주가 상승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해 도쿄 하계올림픽을 열었던 일본은 대회 기간 니케이 225지수가 소폭 하락한 바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번 동계올림픽이 2008년 하계올림픽과 달리 흥행에 실패하면서 오히려 중국의 경제회복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라며 “관광수입 부족, 제로 코로나 조치, 동계 스포츠 시설 구축 등으로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정부 재정부담도 가중될 우려가 크다”라고 분석했다.
중국 공산당과 서구 민주진영간의 마찰 심화도 방해 요인이다. 미국 등 주요국의 외교적 보이콧으로 흥행에 대한 의구심이 나온 상황에서 강압적인 거리두기와 언론통제, 정보보안 문제 등으로 벌써 잡음이 나오고 있다.
중국내 산업활동 위축도 우려된다. 중국 지방정부들은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올림픽을 전후로 철강 감산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는 동계올림픽이 지속되는 2월 말까지 철강 생산 규제가 이어지면서 가동률이 50%까지 하락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좀 더 확실한 '올림픽 특수' 효과는 온라인 소비 공간에서 나타날 전망이다. 이는 비대면 시대에 열린 도쿄 하계올림픽을 통해 입증됐다.
정진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도쿄 올림픽 기간(2021년 7~8월) 중국에서는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와 음식배달 이용자수가 전월 대비 급증했다"며 "올림픽 효과가 온라인 형태의 소비를 극대화한 것이 확인됐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