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 출현으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진 가운데, 한때 급격한 확산으로 곤경에 빠졌던 대만의 방역이 놀라운 성과를 보여 주목된다. 불과 7개월여 전만 해도 대만은 확진자 수가 한국과 비슷했으나 현재는 해외 유입을 제외한 신규 확진자 수가 '제로(0)'다. 대만의 대역전극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중앙통신과 연합보(聯合報), 중국시보(中國時報) 등에 따르면 대만 코로나19 대책본부인 중앙유행병 지휘센터는 22일 감염자가 대만에서는 없고 외국에서만 14명이 유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대만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만6840명이다. 같은날 한국의 누적 확진자는 58만9978명이었다. 신규 확진자는 6919명으로 국내 발생이 6856명, 해외 유입이 63명이었다. 한국 인구(5183만 명)의 약 절반인 대만 인구(2357만 명) 규모를 감안해도 대만의 확진자수가 확연히 적다.
지난 5월만 하더라도 대만의 확진자수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당시 대만은 하루 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오며 한 주동안 3390명(5월 셋째 주)이 감염됐다. 같은 기간 한국은 4360명이었다.
대만이 코로나19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라이칭더 대만 부총통은 지난 10월 미국 하버드대 학생 대상 강연에서 대만 방역의 성공 비결로 “선제 조치와 신속 대응, 투명성, 민주주의, 스마트방역이라는 원칙하에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은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의 디지털 방역을 주도한 오드리 탕 디지털부 장관도 이달 스위스에서 열린 온라인 행사에서 “국민들로부터 얻은 신뢰가 방역 성공의 핵심”이라며 “우리는 국민을 위해 일하지 않고 국민과 함께 일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속대응 △선제조치 △투명공개 △스마트 방역 등을 주요 방역 키워드로 꼽았다. 실제 대만은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창궐한 직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중국발 입국을 차단하는 등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 또 질병관리서(CDC) 산하 방역중앙본부(CECC)로 지휘체계를 통일했으며, 자동전화를 통해 CECC로 누구나 곧바로 연락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존재하는 한 방역 성공은 요원하다는 판단에 따라 ‘혁명적 투명성(Radical Transparency)’을 원칙으로 모든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했다. 마스크 실명제, 재고 현황 앱으로 제품 구매를 돕는 동시에 마스크를 구하기 어려운 이들을 위한 예약구매 앱도 가장 먼저 선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만 정부는 강력한 통제에도 나섰다. 격리 조치 등을 어겼을 경우 엄격하게 법을 집행한 것이다. 대만에서는 격리 규정 등 검역 조치를 위반했을 때 대만 전염병 예방법 제58조에 따라 10만 대만달러에서 최대 100만 대만달러(약 428만~4280만 원)까지 벌금을 부과한다. 대중교통, 종교시설, 의료시설 등 주요 시설에서 마스크 쓰지 않는 경우에는 벌금이 최소 3000대만달러(약 12만 원)이상 최대 1만5000대만달러다.
대만은 한국과 달리 일상회복도 시작하지 않았다. 그나마 최근 방역 단계를 2단계로 완화한 상태다. 외출 시 마스크 착용은 물론이고, 영업장소와 공공장소의 QR코드 체크인, 체온 측정, 환경위생 강화, 직원 건강관리 등의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 야시장 영업을 정상화했지만 이동 중 취식은 금지했다. 극장 등 공연시설도 1.5m 간격 유지를 조건으로 특별한 영업 제한은 없다.
2단계를 유지하면서도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연휴에 대비해 내년 2월 14일까지 ‘춘제 검역 7+7+7 방안’을 시행한다. '7+7+7'이란, 2차 접종을 마친 지 14일이 경과한 상태에서도 격리해야 하며, 입국일로부터 7일간 방역호텔 또는 집중검역소에 숙박하고, PCR 검사 결과에서 음성이 나올 경우 귀가해 자가격리 7일, 그 후 자주적 건강관리 7일을 해야 한다. 위반자에게는 최대 100만 대만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