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분야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는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양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은 2018년 기준 총 406만1000톤으로 국가 배출량의 0.56%를 차지한다. 이중 해운은 101만9000톤으로 유류사용에 따른 직접배출량이며 수산ㆍ어촌은 304만2000톤으로 유류사용에 따른 직접배출량 253만8000톤과 전력사용에 따른 간접배출량 50만4000톤이다.
해수부는 2050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탄소중립(Net Zero)에서 더 나아가 2018년 배출량 대비 729만8000톤을 감축한 –324만톤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수단 등 세부적인 계획을 내놨다.
우선 해운 분야에서는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선박으로 전환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만7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저탄소(LNG, 하이브리드 등) 선박 기술을 고도화하고, 무탄소(수소, 암모니아) 선박 기술을 상용화한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 확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만5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LNG,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히트펌프, 인버터와 같은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가공시설에 보급하는 등 수산업 전반을 친환경 체제로 전환한다. 양식장과 국가어항 등의 유휴부지와 유휴수역에 태양광, 소수력, 파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도 구축한다.
해수부는 또 2050년까지 파력, 조력 등 해양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량 229만 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증설 가능성을 검증하고 신규 대상지를 발굴하기 위한 타당성조사를 추진하는 등 조력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또 조류발전, 파력발전 등 해양에너지는 실증연구를 통해 상용화시킬 계획이다.
갯벌, 염생식물 등 해양의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을 통해 2050년까지 136만2000톤의 탄소를 흡수한다. 2050년까지 훼손된 갯벌 30㎢와 갯벌식생 660㎢를 복원하고 2030년까지 540㎢의 바다숲을 조성한다.
또 환경‧탄소흡수 소재를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 중심인 해안선을 복원하는 등 연안지역을 전면 재설계하는 ‘숨쉬는 해안뉴딜’도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더불어 해조류, 패류, 미세조류 등 추가적인 블루카본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확대한다.
해수부는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대응TF를 상설기구로 만들어 로드맵에 지속해서 반영하고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으로써 위기이자 기회”라며 “2050년이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지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해양수산분야의 탄소중립 정책에 최대한의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