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병목+방역체계개편 등에 높은 물가오름세 예상보다 오래 지속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한미간 소비자물가 격차는 중고차값과 오락·문화서비스값 등이 갈랐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당분간 이같은 격차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집값의 물가반영 문제는 각각 시차가 존재하는 만큼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봤다.
27일 한국은행 물가동향팀 이도원 차장과 이승철 과장 등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물가 동인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중고차값과 사회적 거리두기 차이로 인한 서비스 품목 가격차가 한미간 소비자물가 차이를 가져왔다.
공급병목 품목이란 중고차, 신차, 자동차부품·장비, 가구·가사용품, 오락용품 등을, 경제활동재개 품목이란 운송서비스와 오락·문화서비스, 의류·신발 등을 의미한다.
식료품·에너지품목의 경우 미국은 휘발유 및 석유류에 붙는 세금이 낮아 원유가격 변동이 그대로 값에 이전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높아 상대적으로 이전되는 부문이 적다는 점이 반영됐다. 실제 8월 기준 정액세는 우리나라가 45%인 반면, 미국은 15%에 그치고 있다.
반면, 공급병목 품목에서 자동차값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신차값은 1% 오른 반면, 미국 신차값은 8%, 중고차값은 20%나 급등했다(9월, 전년동월대비 기준). 경제활동재개 품목에서 숙박·음식업 임금상승률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1.1%(7월, 전년동기대비, 1인당 기준) 상승한 반면, 미국은 11.9%(7~8월, 전년동기대비, 시간당 기준)나 올랐다.
이승철 한은 과장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이 빚어지고 있지만, 반도체는 주로 우리나라가 생산하면서 공급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경제활동재개 품목에서는 미국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작년보다 상대적으로 더 완화한데다, 재정지출이 더 크게 늘어난 부문이 반영됐다”며 “미국에서는 집값을 우리나라는 전세값을 물가에 반영하고 있다. 최근 상승을 반영하는데는 시차가 있어 아직 물가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 다만 지속적인 물가상승 압력으로는 작용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블룸버그 등 컨센서스를 보면 당분간 한미간 물가격차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글로벌 공급병목현상, 방역체계 개편에 따른 수요 등으로 높은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