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부터 인구구조변화·4차산업혁명·기후리스크 등 새로운 도전 직면
박기영<사진·50세> 한국은행 신임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6일 취임인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한은 내부에서 선제적으로 많은 연구와 검토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저도 제자리에서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통화정책 패러다임이 진화해 오고 있다며 최근에도 단기와 중장기적 시계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신임 금통위원은 “통화정책 패러다임은 역사적 사건에 직면하면서 계속 진화해 왔다. 가까운 예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비전통적 통화정책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논의가 시작됐다”며 “이후 통화정책 개입 여부와 범위, 수단에 대한 고민들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중앙은행 업무 영역이 아니라 생각했던 경제적 불평등 문제도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재 중앙은행은 단기, 중장기 시계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당장 단기적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가 고민”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기후 리스크 등을 고려한 중앙은행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그는 한은 총재 추천 금통위원이었던 고승범 전 위원(현 금융위원장)의 중도 사퇴에 따라 금통위원에 오르게 됐다. 임기는 고 전 위원의 잔여임기인 2023년 4월20일까지다.
1971년생으로 연세대 경제학과와 동대학원 경제학 석사를 거쳐 2006년 미국 시카고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1999년 한국은행에 입행하기도 했었다. 2006년 미국 메릴랜드대 볼티모어 카운티 경제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2007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2015~2019년 한은 외화자산운용 자문위원을, 2019~2021년 국민경제자문회의 거시분과 위원을 각각 역임한 바 있다.
다음은 박기영 신임 금통위원 취임인사 전문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새로 금통위원직을 맡게 된 박기영입니다.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시점에서 금통위원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통화정책의 패러다임은 역사적 사건에 직면하면서 계속 진화해 왔습니다. 가까운 예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비전통적 통화정책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통화정책의 개입 여부와 범위, 수단에 대한 고민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과도 맞물리며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업무 영역이 아니라 생각했던 경제적 불평등 문제도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통화정책 패러다임이 진화하는 양상을 고려하면 현재 중앙은행은 단기, 중장기 모든 시계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당장 단기적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고민해야 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후 리스크 등을 고려한 중앙은행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 코로나19 상황과 자산시장 과열 문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재정정책, 거시건전성 정책과의 정책 조합도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이미 한은 내부에서 선제적으로 많은 연구와 검토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제 자리에서 조금이나마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책임감으로 어깨가 무겁지만 한편으로는 탁월한 능력과 겸손함을 동시에 갖춘 한국은행 임직원분들과 함께 일할 수 있다는 기대가 매우 크기도 합니다. 또한 이전부터 존경해 왔던 총재님과 위원님들의 식견과 경험에서 많이 배우면서 최선을 다한다면 제 나름의 소임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기 동안 여러분과 함께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일조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