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주가 고공행진 이어가던 카카오ㆍ네이버 주가가 정부와 정치권의 규제 움직임에 급락했다. 증권가는 해당 이슈를 쉽게 예단하기 어려운 이슈라는 입장이다.
8일 카카오 주가는 전일 대비 10.06%(1만5500원) 떨어진 13만8500원을 기록했다. 이날 개인은 카카오를 6233억 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4323억 원, 1944억 원을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카카오는 상장 후 처음으로 하루 만에 10% 이상 급락했다. 이날 하루 카카오 시가총액은 6조8974억 원이 증발했다.
네이버 역시 전일 대비 7.87%(3만5000원) 떨어진 40만9500원으로 장을 마쳤다. 개인은 네이버를 3407억 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87억 원, 1203억 원을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네이버 주가가 7% 이상 떨어진 건 상장 후 역대 아홉번째다. 이날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5조7492억 원 급락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에선 카카오 등 인터넷플랫폼에 대한 불공정거래 규제 방안을 논의했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혁신과 성장의 상징이었던 카카오가 소상공인에게 높은 수수료를, 국민에게는 비싼 이용료를 청구하며 이익만 극대화하는 ‘탐욕과 구태’의 상징으로 전락했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카카오의 무자비한 사업확장의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고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상생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콜택시 어플 ‘카카오T’를 통한 갑질 논란 역시 이런 흐름에 한 몫 했다. 이날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이용자나 택시 가맹사업자 입장에서 무료를 전제로 가입했는데 중간에 유료 전환하면서 갖가지 수수료를 통해 과금하는 것은 애초의 약속과 다르다”며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사전 규제, 금지행위를 통한 사후 규제 모두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날 금융당국은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를 단순한 광고 대행이 아닌 ‘중개행위’로 보고 금소법 위반 사항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판매 과정이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소비자는 해당 계약을 일반적으로 플랫폼과의 거래로 오인하기 쉽다는 점도 위반 요인으로 지적했다.
증권가에선 이와 관련된 이슈를 쉽게 예단하기 어려울 것이란 목소리가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대선 시기에 돌입한 지금 누가봐도 정치적 목적이 다분한 규제 정책 발표 영향으로 해당 종목들의 주가가 떨어졌는데 이에 대한 사족을 다는 건 일개 증권사 입장에선 상당히 난처한 일”이라며 “정부의 규제 정책을 무작정 비판할 수도 없고 해당 종목들에 대한 강력한 규제로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고 단정짓기도 어려운 노릇”이라고 밝혔다.
물론 관련 이슈에 대해 소신있는 전망을 밝힌 전문가들도 있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 상황과 규제를 덜 적용받는 상황이 맞물리며 최근 2년 사이 빅테크사가 가파르게 성장했으나 갑작스러운 규제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며 시장에 크게 작용했다”며 “악재가 될 수 있는 이슈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시장에 내성이 생길 수 있지만 단발성 이벤트로 끝날 것 같진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양사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며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의 투자와 대출ㆍ보험 관련 매출 비중은 미미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장기적으로 관련 규제의 강화나 다른 사업 영역으로까지 확대될 경우 플랫폼 기업 주가의 핵심인 멀티플 확대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며 “당분간 정부 규제 관련 뉴스플로우에 따라 주가 변동성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와 네이버의 3분 실적발표 전후까지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김창권 미래에셋투자 연구원은 “카카오와 네이버는 시장에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기에 상대적으로 잘 버텨줬던 종목들인데 이번 규제 이슈로 매도세가 몰렸다”며 “현재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놓고 많은 가능성을 염두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