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의 핵심 사업에는 어김 없이 김태경(사진) 서기관이 있다. 2004년 개봉한 영화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의 주인공처럼 해수부의 홍반장인 셈이다.
김태경 어촌어항재생과장을 지난달 29일 정부세종청사 사무실에서 만났다.
김 과장은 지난해 말 출범한 어촌어항재생사업기획단에서 어촌어항재생과장으로 어촌뉴딜300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해는 해양레저관광과장으로 해수욕장 코로나 방역을 챙겼다.
김 과장의 요즘 고민은 어촌뉴딜300의 성과와 포스트 어촌뉴딜이다. 김 과장은 “요즘 당면한 문제로 어촌소멸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며 “지금까지 어촌뉴딜은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정비가 중점이었지만 그 안에 들어가서 뭔가를 하려면 마을 내에 어떤 건물이 들어서도 운영할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로컬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을 불러모아 사업을 하면 지속성을 가질 수 있고 어촌뉴딜 사업이 유휴 시설화되지 않도록 운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과장은 그 대안으로 지역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과 어촌에서 함께 다양한 사업을 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아울러 규제 샌드박스로 진행하고 있는 농어촌 민박사업을 어촌의 빈집 재생과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김 과장은 어촌뉴딜300을 추진하면서 어려운 점으로 계획과 실제가 다를 때를 꼽았다.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을 가지고 사업계획을 짜서 평가받고 선정했는데 실제 들어가 보면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관련해서 민원처럼 올라오는 게 있는데 조율하는 것도 실무적이지만 어렵다고 했다.
지자체에 어촌뉴딜 전담조직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위탁자가 중간에서 얼마나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잘 진행될 수도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촌뉴딜300을 전담하고 있지만 김 과장의 고향은 바다가 없는 충북 진천이다. 지난해 해수욕장 코로나 대책을 만들 때도 처음에 김 과장은 해수욕장에서 거리두기가 왜 필요한지도 몰랐다고 했다. 바다를 별로 안 가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젊은 직원들이 해수욕장에서 술을 마시다 보면 무리가 커지고 마스크를 안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해 솔직히 충격을 받았단다. 그러면서 그런 것을 줄여야 방역 효과가 있다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김 과장은 “작년부터 해수욕장 예약제를 했는데 예약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는 게 보여서 안심이 된다고 했다”며 “그래서 올해 해수욕장 예약제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면서도 민간기업은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했다. 당시 백지연 아나운서가 화제가 되고 책도 냈다. 그래서 김 과장도 한때 아나운서가 되면 멋질 것 같고 좋아 보여 아나운서를 생각하기도 했지만 결국 행정고시를 보고 공무원이 됐다. 김 과장은 “큰 그림을 그리고 정책을 만드는 걸 해보고 싶었다”고 했다. 그가 희망했던대로 좋은 정책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길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