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망] 달러화, 미국 고용동향 발표 앞두고 경계감 확대

입력 2021-06-03 08: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1-06-03 08:5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3일 외환 전문가들은 미국 고용동향 발표를 앞두고 원ㆍ달러 환율이 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10.94원으로 3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달러화는 유로화가 독일 소비지표 부진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상승폭을 확대하기도 했다. 그러나 5월 미국 고용보고서를 앞둔 경계감이 이어지면서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하며 강보합권에서 마감했다.

독일 5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5.5%로 4월(7.7%)과 시장 예상치를 모두 상회했다. 미국 연준의 베이지북에서는 경기 낙관론이 한층 강화된 가운데 제조업을 중심으로 물가가 이전보다 상승했다고 평가하며 테이퍼링 우려를 자극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 인플레이션, 조기 테이퍼링 리스크와 관련 금융시장에서 주목하는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다가올 한 주에 집중됐다. 오는 5월 미국 고용지표 발표(4일)를 시작으로 9일 중국 생산자물가(PPI), 10일 미국 5월 소비자물가 발표가 예정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3대 지표의 시장 기대치 상회 여부다. 5월 물가지표에 기저효과가 가장 크게 반영된다는 점에서 4월에 비해 높아질 수밖에 없다. 4월과 같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쇼크가 재연될 지가 관점 포인트다. 특히 중국의 경우 강력한 원자재 시장 규제에 나서고 있어 중국 5월 생산자물가의 전월 대비 상승 폭이 둔화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3개 지표가 시장 기대치에 준하거나 4월과 같이 쇼크를 줄 정도의 큰 상승폭을 기록하지 않는다면, 6월 FOMC(15~16일)에서도 테이퍼링과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시중금리 안정 추세와 함께 달러화 약세 흐름이 이어질 공산이 크다.

무엇보다 달러화의 추가 하락이 커질 수 있어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한층 강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최근 경제 지표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어 이들 지표 발표를 두고 금융시장의 관망심리가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741,000
    • +3.51%
    • 이더리움
    • 4,462,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1.16%
    • 리플
    • 819
    • +0.86%
    • 솔라나
    • 302,100
    • +5.48%
    • 에이다
    • 826
    • +2.48%
    • 이오스
    • 782
    • +4.27%
    • 트론
    • 230
    • +0%
    • 스텔라루멘
    • 154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600
    • -4.07%
    • 체인링크
    • 19,730
    • -1.99%
    • 샌드박스
    • 409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