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이 부산시와 공동으로 2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I에서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 특별전을 개최했다. '2021 부산민속문화의 해'를 맞아 마련된 이번 전시는 모두가 잘 안다고 생각했던 '부산'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발견할 수 있는 자리다.
김종대 국립민속박물관장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산은 영화 '국제시장'으로 잘 알려졌는데, 문화적인 측면 이전에 부산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알려주기 위해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부산' 하면 흔히들 바다를 떠올리지만, 부산은 바다뿐만 아니라 낙동강과 수영강을 따라 평야가 펼쳐진 곳이다. 조선시대까지 대부분 지역이 농사를 지었고, 농경문화와 해양문화가 공존하며 다양성을 지닌 독창적인 문화권역을 이뤘다. 또 바다와 육지의 경계에서 사람과 물자, 그리고 문화의 나들목으로서 시대에 따라 다양한 사람과 문화가 섞이며 현재의 도시로 발전했다.
전시는 이러한 부산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1부 사람·물자·문화의 나들목, 부산'과 '2부 농경문화와 해양문화의 공존, 부산'으로 구성됐다. 문화재를 포함해 관련 유물 및 수집 자료와 사진, 영상 320여 점이 준비됐다.
1부에선 조선시대 통신사와 왜관(倭館)을 통해 일본과 교류했던 모습부터 최초의 근대 개항장이 돼 근대문물을 받아들이고, 6·25전쟁을 거치며 피란민을 수용하며 수출무역의 거점 도시로 성장하기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이곳에서는 조선시대 대일 교류를 보여주는 자료로 국내 최초로 공개하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조선통신사행렬도'와 왜관을 통한 사신 맞이를 볼 수 있는 10폭 병풍 '동래부사접왜사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볼 수 있다.
개항장의 실상을 보여주는 감리서 서기 민건호의 일기 '해은일록(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7호, 부산박물관 소장)', 6·25전쟁 피란수도 당시 생활사 자료와 종군기자 임응식의 사진, 이북 피란민이 창안한 밀면 제조 도구, 실향민이 그린 '고향 지도', 부산에서 전국으로 퍼진 산업을 보여주는 '금성사 라디오(A-501)'와 '금성 텔레비전(VD-191)' 등도 볼 수 있다.
부산은 원래 농사짓던 곳이었다. 2부에선 농경문화와 해양문화를 간직한 부산 사람들의 삶과 민속을 소개한다. 지역에 전승되는 탈놀음과 농사공동체의 노동요에서 비롯된 '농청놀이'가 농경문화를 잘 보여준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동래야류 탈'과 '수영야류 탈'(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6호,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소장) 등 부산지역 전통 탈과 '수영야류'(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동래야류'(국가무형문화재 18호) 등 탈놀음을 증강현실(AR)로 체험할 수 있다. 해양문화로는 수군과 어민이 함께 하는 멸치후리질을 보여주는 '좌수영어방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62호) 관련 자료와 영상이 전시된다.
바다와 살아가는 부산의 여성도 조명한다. 제주를 떠나 바깥물질을 가는 출항해녀의 거점이었던 영도의 '부산 해녀', 3대 아지매들의 자료와 생생한 인터뷰를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송의정 부산시립박물관장은 "부산은 6·25 이후 1990년대까지 10년마다 인구가 100만 명씩 늘어났다"며 "우리가 모르고 있던, 그 사람들을 먹여 살릴 수 있었던 부산의 동력은 무엇이고, 왜 쇠퇴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