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두바이 지사 15년 만에 폐쇄…중동 사업 축소하나

입력 2021-05-26 1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1-05-26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2006년 세운 중동 유일의 거점…"사업장 재배치 차원"

▲KCC의 글로벌 네트워크 현황 (출처=KCC 홈페이지 캡쳐)
▲KCC의 글로벌 네트워크 현황 (출처=KCC 홈페이지 캡쳐)

KCC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지사를 15년 만에 폐쇄한다.

26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KCC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두바이 지사 폐쇄 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두바이 지사는 중동 지역에 있는 KCC의 유일한 사무소다.

2006년 세워진 뒤 중동 지역 전반의 영업과 판매 등을 담당해왔다. KCC는 중동에서 도료를 중심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사업장을 재배치하는 차원에서 결정한 건"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도료 사업은 그대로 이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KCC가 중동 지역에서의 도료 사업을 점차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미국 행정부 이후 이란을 중심으로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진 만큼 사업을 예전처럼 영위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한국은행은 '2020년 이후 글로벌경제 향방을 좌우할 주요 이슈'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의 주요 잠재적 리스크 중 하나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다.

미국과 이란 간 무력충돌로 인해 중동정세 불안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다.

친서방 국가(사우디, 아랍에미리트, 이스라엘 등), 시아파 국가(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예멘, 카타르) 등의 중동 국가 전반의 움직임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동과 가장 밀접한 대표 업종인 정유 업계도 차츰 중동에서 발을 빼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정유사들이 도입한 중동산 원유는 총 6억7600만 배럴로 1년 전보다 10% 줄었다.

전체 원유 도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9%로, 1988년 이후 처음으로 60%대로 내려앉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란 경제 제재 해제 등 중동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에 사업을 확대하는 분위기였다"라면서도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하면서 오히려 중동과 거리를 두려는 곳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농협은행'·'거지가 되'…Z세대의 말하기 문화?①[Z탐사대]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AI·카메라 컨트롤 기능 기대감”…아이폰16 출시 첫날 ‘북적’ [르포]
  • “나들이 가기 딱 좋네”…서울시민이 꼽은 여가활동 장소 1위는?
  • '로또보다 더 로또' 강남 분상제 아파트 잡아라…청약 경쟁 '치열'
  • 오늘부터 독감 예방접종 시작…어린이·임신부·어르신 순차 진행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485,000
    • +0.69%
    • 이더리움
    • 3,428,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457,400
    • +2.14%
    • 리플
    • 806
    • +4.13%
    • 솔라나
    • 197,800
    • +1.12%
    • 에이다
    • 477
    • +1.49%
    • 이오스
    • 702
    • +2.33%
    • 트론
    • 203
    • +0%
    • 스텔라루멘
    • 131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050
    • +2.48%
    • 체인링크
    • 15,170
    • -0.98%
    • 샌드박스
    • 385
    • +7.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