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이 IPTV 3사의 규탄에 맞서 “콘텐츠의 가치를 저평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CJ ENM은 20일 입장문을 내고 “IPTV 3사와 올해 실시간채널 공급에 따른 프로그램사용료 인상률에 대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채널의 영향력과 제작비 상승 및 콘텐츠 투자 규모에 부합하는 요구안을 가지고 협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CJ ENM은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 IPTV 3사를 향해 콘텐츠의 가치를 지나치게 저평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9년 IPTV가 고객들에게 수취한 기본채널수신료 매출과 홈쇼핑 송출수수료 매출 가운데 16.7%만이 실시간채널 공급 대가로 전체 방송채널사업사용자(PP)에게 배분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IPTV 3사는 CJ ENM이 요구한 콘텐츠 사용료 액수가 과도하다며 성명을 발표했다.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최근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25% 이상의 콘텐츠 공급 대가 인상을 요구했다.
CJ ENM은 유료방송 플랫폼사가 챙겨가는 몫은 과도하다며 “IPTV 3사는 유료방송 플랫폼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SO나 위성 플랫폼과 비교해도 가장 낮은 수준의 프로그램 사용료율을 책정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게다가 IPTV사가 홈쇼핑 채널에서 받는 송출수수료는 지난 5년간 연평균 39.3%씩 인상됐다”고 짚었다.
IPTV사가 운영하는 OTT 실시간채널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 문제에 관해 CJ ENM은 서비스 규정부터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IPTV 측은 해당 서비스가 자사 유료방송플랫폼인 IPTV 서비스를 단순히 모바일 환경으로만 옮겨놓은 ‘모바일 IPTV’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당사는 해당 서비스가 명확히 ‘OTT 서비스’라는 입장”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IPTV 계약과 분리된 별도의 재계약 협상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CJ ENM은 “‘KT시즌’과 ‘LG유플러스 모바일TV’에 헐값에 콘텐츠를 공급해 왔지만, 올해부터는 사용자 확대에 따른 OTT 위상에 걸맞는 ‘콘텐츠 제값받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또, 패드TV 등 신기술 적용 서비스의 대가 산정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는 “새로운 콘텐츠 시청환경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당사 역시 주목하고 있다”며 “기술과 혁신에 기반한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을 당사 역시 마다할 이유가 없지만, 한국IPTV방송협회에서 해당 서비스의 도입을 마치 당사가 방해하고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성명서상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이어 “PAD TV 등 IPTV 신기술 적용 서비스가 출시될 경우,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기술적 보호조치 방안 및 가입자 수 자료를 콘텐츠 사업자에게 성실하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용료 협상을 하면 되는 사안일 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