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에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은 대기업이 도와줘야 한다.”
오덕교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연구위원은 22일 서울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이투데이 ESG 포럼 2021’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ESG 현실과 상생경영’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2020년 KCGS의 ESG 점수를 분석, 환경경영(E)ㆍ사회책임경영(S)ㆍ지배구조(G) 분야별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를 실증했다.
환경경영(E)의 경우 대기업은 40.4점, 중소기업은 20.8점을 기록했다. 환경사고 대응, 교육, ISO 인증 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비슷했다. 다만 중소기업 대부분은 대기업 공급업체인 관계로 공급사슬에 대한 관리가 미진했다.
사회책임경영(S)의 경우 대기업은 50.4점, 중소기업은 22.9점의 격차를 보였다. 기간제 비율, 여성 정규직 직원 비율, 평균 근속연수는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안전보건, 산업재해, 인원 관련 제도에서 중소기업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G) 부문에서도 대기업은 44.9점, 중소기업은 30.1점의 성적을 받았다. 재무지표뿐 아니라 지배구조 세부 지표에서도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오 연구위원은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원청업체(대기업)가 하청업체(중소기업의) ESG 수준 개선을 유도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제시했다. 대기업 또한 ESG 리스크 감소를 위해 협력사 ESG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대ㆍ중소기업 상생 ESG의 모범 사례로는 삼성전자를 꼽았다.
오 연구위원은 “삼성전자의 경우 경제ㆍ사회ㆍ환경적 측면에 대한 행동 규범을 만들어 준수하도록 하고, 협력사가 자체 평가 1년에 한 번씩 하도록 하고 있다”며 “삼성전자에서 정한 에코 파트너 인증 규격을 채우도록 하는데, 협력사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