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돗물에서 검출되며 논란이 됐던 깔따구 유충이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에서 또다시 발견됐다. 정부는 해당 정수장에서 유충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재발 방지책을 내놨지만 계속된 유충 검출에 불안감은 이어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447곳 정수장의 위생관리 실태를 점검한 결과 5곳의 정수장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당 정수장은 경기 연천군 연천정수장, 동두천 동두천정수장, 충남 보령 성주정수장, 충북 제천 고암정수장, 강원 화천군 산양정수장이다.
연천·동두천정수장에서는 원수에 유충이 유입된 것을 처리공정에서 제거하지 못했고, 성주정수장은 방충망 손상과 정수지 내부 청결 상태 불량이 확인됐다. 고암·산양정수장 역시 시설 노후화, 위생관리 미흡 등으로 유입된 유충을 제거하지 못했다.
환경부는 이번에 유충이 검출된 5곳 정수장에 대해 수계전환을 통한 광역상수도 전환, 정수처리 강화, 정수지·배수지 청소 및 유충 차단망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해 유충이 수돗물을 공급받는 곳(수용가)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았고, 해당 지역에서 유충 발견 신고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5곳 외에도 18곳의 정수장에서는 정수는 아니지만, 원수 및 여과지 내벽, 역세척수 등 처리과정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이들 정수장에 대해서는 유충 차단조치와 처리공정별로 거름망을 설치해 점검 중이다.
계속된 유충 검출에 환경부는 연중 감시 체계 구축과 안전장치 마련 등 재발 방지책을 내놨다. 유충이 검출됐거나 취약한 정수장 55곳을 대상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다음 달 이행여부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118곳에 대해서는 2271억 원을 들여 위생관리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환경부는 지난해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며, 2022년까지 이를 완료하면 수돗물 위생 문제는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깔따구 유충은 지난해 7월 인천 공촌정수장과 가정집 수돗물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후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수돗물 유충이 발견되며 논란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