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7주 연속 하락하면서 ‘패닉 바잉’(공황구매) 현상이 진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 대규모 공급 대책과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한풀 꺾였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온다. 다만 본격적인 집값 하락 신호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101.0으로 지난주(104.1)보다 3.1포인트 하락하며 기준선(100)에 바짝 다가섰다. 매매수급지수는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더 많음을 뜻한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 100.2로 100을 넘긴 뒤 이번 주까지 18주 연속 100선을 웃돌고 있다. 다만, 2월 둘째 주 111.9를 기록하며 작년 7월 이후 최고로 올랐던 이 지수는 2월 셋째 주 110.6으로 내렸다. 이후 7주 연속 하락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정부의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 중장기적으로 서울 인근에 아파트 공급이 충분히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기면서 30대를 중심으로 번지던 패닉 바잉 현상이 잦아들었고 금리 인상 움직임에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세금 인상 우려까지 더해지며 매수심리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의 강남·북 분위기를 살펴보면 강남권(한강 이남 11개 구) 매매수급지수는 102.7로 아직 매수 우위 시장이 유지되고 있다. 거래량이 줄었지만, 강남구 압구정동과 양천구 목동 등의 재건축 아파트에 정비사업 추진 기대감으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 얘기다. 강북권(한강 이북 14개 구)은 이번 주 99.4를 기록해 21주 만에 100 아래로 내려가며 매수 심리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이번 주 111.8로 2월 둘째 주(118.8) 이후 7주 연속 하락했다. 공급 우위 분위기는 약해지고 있지만, 지수는 여전히 110을 웃돌고 있다. 경기도는 118.7로 올해 들어 처음 120 이하로 내려갔고, 인천은 110.7로 지난주(111.2)보다 소폭 하락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집값이 더 오를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거세게 불던 패닉 바잉이 진정되고 있고, 집값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날로 심화하던 전세난도 점차 진정되는 분위기여서 서울 집값은 앞으로 숨 고르기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