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10일 발표한 최근 3년간(2018~2020) 해양 쓰레기 수거량과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해안 쓰레기 중 평균 83%가 플라스틱 쓰레기였다.
더 자세히는 음료수병, 뚜껑 등 경질형이 26.2%로 가장 많았고 스티로폼 부표 등 발포형이 20.7%, 어업용 밧줄 등 섬유형이 17.1%, 비닐봉지 등 필름형이 11.8%를 차지했다.
또 외국발 해안 쓰레기는 개수 기준으로 전체 해안 쓰레기의 1.3%, 무게 기준으로 4.1%를 차지했으며 중국에서 온 쓰레기가 95%로 대부분이었다.
최근 3년간 평균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수거된 장소를 기준으로 바닷가의 해안 쓰레기가 약 7만8000톤(69%)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속에 쌓여 있는 침적 쓰레기가 약 2만9000톤(25%), 바다 위에 떠다니는 부유 쓰레기가 약 7000톤(6%)이었다.
2020년에 1000여 명의 바다환경지킴이(해양환경미화원)가 수거한 해안 쓰레기양은 약 3만3000톤으로 2020년 전체 해안쓰레기 수거량(13만8000톤)의 약 29%를 차지했다.
해수부는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해양 쓰레기 관리사업 국고보조율을 높이고 바다환경지킴이를 1300명까지 늘리는 등 수거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해양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업, 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해변을 입양해 정화활동을 하는 민간주도형 반려해변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한다. 아울러 연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약 6만7000 톤 추정)의 약 54%를 차지하는 폐어구·부표를 줄이기 위해 어구·부표 보증금제 도입도 추진한다.
최성용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가장 효과적인 해양 쓰레기 관리 정책은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라며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육상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천에 설치하는 차단막 개수를 늘리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