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남는 재생에너지 전력 육지로 전송

입력 2021-03-03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주 재생에너지 출력 비중 16.2%로 증가…상반기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발표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노승길 기자)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노승길 기자)

제주도에 남아도는 재생에너지 전력이 육지로 전송된다. 과잉 생산되는 전력 때문에 강제로 재생에너지 발전기를 멈춰야 하는 일이 빈번해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전력 수요가 필요한 곳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다.

현재 ‘카본 프리 아일랜드(탄소없는 섬) 2030’ 정책을 추진 중인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 비중은 2016년 9.3%에서 지난해 16.2%로 높아져 전력 과잉 생산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전력이 부족해도 정전이 발생하지만, 과잉공급돼도 전력계통에 과부하가 일어나 정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한 출력제어 횟수는 2015년 3회에서 지난해 77회로 급증했다.

이에 정부는 제주-육지간 해저케이블( HVDC·고압직류송전) 2개 라인을 통해 제주도 내 잉여전력을 육지로 보내기로 했다.

기존엔 육지에서 제주도로만 전력을 보냈으나 역전송 능력을 확보해 반대로 송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도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은 최대 342㎿까지 증가할 것으로 산업부는 보고 있다. 2022년 말 제주-육지간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실시간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세 번째 해저케이블이 준공하면 도내 재생에너지 수용량은 400㎿가 추가된다.

정부는 아울러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계통안정화 ESS’ 23㎿h를 올해 제주도부터 우선 구축한다 .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수소로 전환(P2G·Power to Gas)하거나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열에너지로 전환(P2H)하는 기술, 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하는 기술(V2G) 등도 제주도에서 실증한다.

이번달부터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플러스 DR제도’를 제주도에 도입한다.

아울러 지역 특성을 반영해 다양한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도 추진한다. 분산에너지 비중이 높은 지역은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통합발전소 실종, 생산자·소비자간 직접 거래 등 전력거래 특례를 허용한다.

정부는 이번에 제주지역 대책만 내놨으나 상반기 중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담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세계 야구 최강국 가리는 '프리미어12'…한국, 9년 만의 우승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뉴롯데’ 시즌2 키 잡는 신유열...혁신 속도 [3세 수혈, 달라진 뉴롯데]
  • 인천 미추홀구 지하주차장서 화재 발생…안전재난문자 발송
  • 오늘 최강야구 시즌 마지막 직관전, 대학 올스타 티켓팅…예매 방법은?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09: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20,000
    • +9.86%
    • 이더리움
    • 4,617,000
    • +4.17%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4.58%
    • 리플
    • 846
    • +3.17%
    • 솔라나
    • 306,900
    • +5.03%
    • 에이다
    • 821
    • -2.84%
    • 이오스
    • 796
    • -1.49%
    • 트론
    • 233
    • +1.75%
    • 스텔라루멘
    • 157
    • +3.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300
    • +3.76%
    • 체인링크
    • 20,440
    • +2.15%
    • 샌드박스
    • 419
    • +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