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월 개각에 이어 조만간 추가 개각에 나설 것이라는 이야기가 정가를 중심으로 대두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1월 20일 개각 당시 집권 후반기 마지막 내각 개편인 만큼 여러 부처 장관이 교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외교부 등 3개 부처의 장관이 바뀌는 선에서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특히 1월 개각 당시 청와대가 “집권 후반기 마무리와 성과 창출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개각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정치권은 추가 개각을 시기의 문제일 뿐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특히 여당이 ‘툭 하면’ 교체를 요구하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등,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경제 부처 수장들의 교체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개각 시점을 놓고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당장 설 연휴가 끝나면 개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있지만 오는 3월 초를 유력한 시점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차기 대선 후보 선출과 맞물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세균 국무총리 등이 3월 초 사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이때 홍 부총리를 비롯한 경제부처 수장들도 함께 교체하는 개각을 할 수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내년 5월까지인 문재인 대통령 임기를 고려할 때 후임 장관들이 1년 이상 부처 운영을 할 시간을 준다는 점에서도 3월 개각설이 유력하다는 평가다.
새로운 장관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특징은 이른바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로 분류되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가뜩이나 인재풀이 좁다는 평가를 받아온 문재인 정부의 이른바 ‘돌려쓰기’ 인사가 더욱 짙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집권 후반기에 접어든만큼 문재인 대통령의 측근 전진 배치는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홍 부총리의 경우 교체론이 대두될 때마다 문 대통령이 직접 힘을 실으며 교체설을 일축했던 전례가 있는 만큼 쉽게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문 대통령은 최근 홍 부총리로부터 ‘2021년 경제정책방향’ 보고를 받은 뒤 “내년에도 잘해주기 바란다”고 했고, 수석·보좌관회의에서는 “홍 부총리를 중심으로 코로나 경제위기를 극복해왔다”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만약 홍 부총리가 교체된다면 관료 출신 중엔 은성수 금융위원장, 구윤철 현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전 국무조정실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후임자로 물망에 오른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 문 대통령 측근이나 유력 정치인이 경제부총리를 맡는 파격 인사가 있을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성윤모 장관의 교체 가능성은 꾸준히 거론돼 왔다. 후임으로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이 언급된다. 민주당의 조정식 의원, 우원식 의원 등이다. 산업부 출신으로는 정승일 전 차관이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눈에 띄는 대목은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WTO(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 후보 사퇴 의사를 밝힌 후 산업부 장관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 본부장의 경우 문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는데다 여성이라는 점까지 더해져 유력한 후보군으로 분류된다.
해양수산부는 부산 출신 나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험지’로 분류되는 부산에서 재선에 성공한데다 지역현안들과 직결되는 부처인 해수부에 그를 발탁할 경우 재보선을 앞두고 민심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고용부는 유력 후보들이 다른 자리를 맡으면서 장관 교체 여부 및 후임 장관 후보들이 오리무중이다.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유력하다는 설이 파다했으나 황 전 수석은 이달 임기가 만료된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장 후임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역시 유력 후보였던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최근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