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 일본의 대(對)한국 3대 품목 수출규제 조치에 맞서 우리 정부가 내놓은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 추진이 1년 반을 경과했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수출규제 3대 품목 공급 안정화가 진전되는 등 소부장 대책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 1년 반, 소부장 기업현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일본 정부가 규제한 수출 품목은 불화수소,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생산에 필수적인 품목이다.
보고서는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이 시행된 지 1년 6개월을 경과하면서 이들 품목의 수급 여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불산액의 경우 국내 화학 소재 전문업체인 솔브레인이 12N급 고순도 불산액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 규모를 2배가량 확대했다. SK머티리얼즈는 5N급 불화수소가스 양산에 성공했다.
EUV용 포토레지스트는 유럽산 제품을 중심으로 수입 다변화에 나섰다. 글로벌 기업인 듀폰으로부터 국내 투자를 유치해낸 것도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불화폴리이미드 양산 설비를 구축한 이후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 SKC는 자체 기술 확보 이후 생산 투입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일부 수요 기업은 휴대폰에 대체 소재인 초박막강화유리(UTG)를 채택하기도 했다.
정부는 3개 품목 이외에도 대일본 100대 품목을 지정해 품목별로 평균 재고 수준을 기존 대비 2배 이상으로 확충했다. 이에 대한 성과로 효성의 탄소섬유 생산 설비 증설, SKC의 블랭크 마스크 공장 신설, SK실트론의 듀폰 실리콘 웨이퍼 사업부 인수, KCC의 미국 실리콘 소재 기업 MPM 인수 등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대(對)세계 338+α 품목에 대한 기술 개발, 해외 인수합병(M&A), 투자 유치 등도 계속해서 추진되고 있다.
정부 지원에 기반을 둔 소재·부품 기술 개발 성과도 나오고 있다. 2019년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지원이 이뤄진 25개 품목 가운데 23개 품목의 시제품이 개발됐고 434건의 특허 출원이 이뤄졌다.
또 2019년 추경과 2020년 예산을 합쳐 약 2조 원을 투입해 100대 품목에 대한 기술 개발을 추진했고, 현재까지 총 85개 품목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품목 연구개발(R&D)은 수요·공급 기업이 함께 참여하고 과제 특성에 따른 다양한 지원 방식을 도입해 성공 가능성을 높여 가고 있다.
해당 사례는 센서텍의 자동차 센서 소재, 지엘켐의 이차전지 바인더, 천보의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유진테크의 반도체 공정개발(CVD)장비 개발 등이다.
수요 기업이 양산 라인을 개방해 기술 개발 제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까지 양산 라인 개방에 참여한 수요 기업은 74곳으로 전년 대비 6배 이상 늘었다. 이 가운데 대기업은 25곳이다. 실제로 양산성능평가를 통해 113개 공급 기업이 수요 기업으로부터 성능 인증을 획득했다. 주요 사례를 보면 한솔케미칼(공급 기업)은 삼성전자(수요 기업)로부터 반도체 박막 형성을 위한 공정에서 활용되는 TDMAS 소재의 성능 인증을 획득해 최종 사업화에 성공했다. 이 소재는 그간 주로 수입에 의존해왔으며 수입 규모는 연간 800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올해 소부장 핵심품목의 공급안정성을 확실히 실현하기 위해 차세대 기술 개발 R&D에 2조2000억 원을 투자한다.
또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 확대를 위해 차세대 기술 특화기업, 강소기업, 스타트업 등을 집중 발굴해 육성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반복되는 공급망 충격 속에서도 1년 6개월간 국민과 기업의 노력으로,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국내 소부장 산업이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