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은 6일 “재난이 닥치면 시야가 좁아져 ‘거리두기’ 같은 획일적 정책을 세우게 된다”며 “이렇게 되면 자살 고위험군인 취약계층에 대한 촘촘한 지원 대책을 우선으로 세울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난 시기에는 무엇보다 취약계층에 대한 다면적·다각적 정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진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장도 “이제는 어느 정도 (코로나19에 대한) 실체를 알았으니 ‘무조건 휴관’하는 일방적 방역대책보다는 (소외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비대면 서비스가 깊이 있는 상담에서 가벼운 안부 확인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지역 관계기관에서도 심리 문제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연계해 (취약계층에 대한) 사각지대를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급증하면서 커지는 ‘낙인’ 공포를 제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 센터장은 “코로나 낙인에 대한 과도한 공포는 감염 경로를 밝히기 어려운 상황에선 자발적 진단 참여를 회피하게 만들 수 있어 자칫 확산이 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 회장은 “코로나19 확진자도 치료를 잘 받으면 전파력이 점차 줄어들고 완치 후에는 전염성이 없다는 사실을 방역당국 등이 대중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방역 지침을 받아들이는 개인차 때문에 현실적인 스트레스도 증가하고 있다. 백 센터장은 “모임에 잘 참석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방역이 유별나다’고 핀잔을 듣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코로나19 등 재난 상황에서는 (방역에 대한) 개인의 선택이 존중·배려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 위원장도 “우리나라는 감염병 상황에서 집회ㆍ모임 인원수 제한 외에 자세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며 “단순히 제한 수 이내 모임은 괜찮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모임에 나가지 않으면 무작정 비난받거나 불필요한 오해를 받아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가이드라인을 촘촘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