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19 이후에도 하이브리드 재택근무 활성화할 것

입력 2020-12-1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생산성 향상·삶의 질 개선·부동산값 하락·환경오염 축소, 아직은 결론 내리기 어려워

▲LG유플러스 빅데이터전략팀 김정인 책임이 재택근무 중 화상회의 솔루션을 이용해 팀원들과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빅데이터전략팀 김정인 책임이 재택근무 중 화상회의 솔루션을 이용해 팀원들과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pandemic·대유행) 이후에도 재택근무가 활성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상시 재택근무보다는 하이브리드(hybrid·혼성)형으로 변모할 것으로 봤다.

재택근무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삶의 질 개선, 부동산값 하락, 환경오염 축소 등 영향은 아직 결론 내리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 쟁점과 평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되더라도 재택근무가 확산할 이유로 세 가지를 꼽았다.

우선,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많은 직원이 강제적으로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서 경영진과 직원의 재택근무 인식이 크게 개선됐다. 또, 이미 많은 시간 동안 IT기술을 습득했고, 자원을 투자했다. 아울러 기대했던 것보다 재택근무가 잘 작동했다.

실제, 올해 QuestionPro and IncQuer가 지난해 근로소득 2만달러 이상인 생산가능인구를 대상으로 주변 사람의 재택근무 인식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 훌쩍 넘는 64.7%가 개선됐다고 답했다. 재택근무 효과가 예상보다 개선됐다는 응답도 61%에 달했다.

다만, 상시 재택근무보다는 재택과 기존 사무실, 원격 사무실 등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재택근무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들도 각 기업이 처한 상황에 적합한 최적 조합을 모색할 것이기 때문이다.

BBC 조사에 따르면 12%의 응답자만이 기존 사무실 근무 복귀를 희망했을 뿐, 72%는 하이브리드 근무형태를 선호했다. 미국의 경우 근로자의 40%가 재택근무를 할 수 있지만, 나머지 60%는 대면서비스가 불가피한 필수 근로자로 분류됐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앞서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했던 4~5월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체 근로자의 절반 정도가 재택근무를 했다.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이후 정보통신(IT) 부문 대기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 시행이 활성화했다.

실제 9월 잡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재택근무 경험은 50%를 넘어섰다. 통계청 자료에서도 유연근무자 중 재택근무 참여율은 작년(매년 8월 기준) 4.3%에서 올해 17.4%로 급증했다. 유연근무제란 재택근무, 시차출퇴근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원격근무를 합한 개념이다.

한은 관계자는 “재택근무는 예전부터 수요가 많았지만 인식이 좋지 않아 폭발적으로 늘지 않았었다. 코로나19로 강압적으로 재택근무가 늘었고 앞으로도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전했다.

한편, 재택근무 관련 쟁점으로 꼽히는 생산성 향상과 삶의 질 개선, 부동산값 하락, 환경오염 축소 문제는 아직 결론내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우선 생산성 향상의 경우 직무 만족도와 고용 비용 절감, 우수 인력 확보 기회 증가 등 향상 요인이 있지만, 배울 수 있는 기회의 상실, 관리·감독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 투입 등 저하 요인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IT 인프라가 잘 발달된 나라에서는 생산성 향상 여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삶의 질 개선 역시 통근시간 절감, 유연한 업무 환경은 개선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주거와 근무간 경계가 모호해져 실제 노동시간이 늘 수 있고, 육아 등 가사 부담 증가 등은 되레 악화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부동산 문제는 우선 기업의 경우 대도시 상업건물 수요를 낮출 수 있겠지만, 직원 소속감 유지 등을 위해 대도시 내 상업용 건물을 유지할 유인이 있는데다, 지역별 소규모 스마트 워크센터 등과 같은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다라 임대료 절감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직원도 주거비가 저렴한 지역으로 이주할 유인을 높이는 효과가 있겠지만, 대도시 거주의 주된 요인이 직주근접이 아닌 다양한 편의시설과 자녀 교육 문제라는 점에서 교외 이주 수요가 늘어나기 힘들다고 봤다.

환경오염과 관련해서는 직원 이동이 줄면서 석유, 전기 등 수요와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반면, 가정에서 IT 기기 사용이 늘고, 냉·난방 에너지 사용이 증가한다는 점은 긍정적 효과를 제약할 수 있고, 기존 사무실 공간이 축소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861,000
    • +4.12%
    • 이더리움
    • 4,470,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610,500
    • +2.78%
    • 리플
    • 820
    • +0.99%
    • 솔라나
    • 302,200
    • +5.96%
    • 에이다
    • 826
    • +0.73%
    • 이오스
    • 783
    • +5.24%
    • 트론
    • 231
    • +0.87%
    • 스텔라루멘
    • 154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350
    • +1.34%
    • 체인링크
    • 19,620
    • -2.53%
    • 샌드박스
    • 408
    • +2.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