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 훼손 않고 신경망 관찰하는 현미경 개발

입력 2020-12-03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사행렬 현미경의 작동 개요. (사진제공=기초과학연구원)
▲반사행렬 현미경의 작동 개요. (사진제공=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쥐의 두개골을 관통해 신경망 구조를 고해상도로 이미징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뼈 조직은 내부에 미세한 구조들이 많아 빛의 산란이 심하고, 복잡한 광학적 수차를 유발한다. 이 때문에 광학 현미경으로 두개골 아래의 뇌 조직을 관찰하면, 이미지가 크게 왜곡되고 노이즈가 심해 물체의 구조를 알아보기조차 어려웠다.

연구진은 ‘반사행렬 현미경’을 새롭게 개발해 기존 현미경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반사행렬 현미경은 빛의 초점에서만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초점으로부터 산란한 모든 빛을 측정하도록 설계됐다. 여기에 연구진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해 직진광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했다. 기존 공초점 현미경으로는 전혀 관찰할 수 없었던 약 1마이크로미터 굵기의 가는 뇌 속의 미엘린 신경섬유들을 관측할 수 있었다.

실제로 연구진은 이광자 현미경에 반사행렬 시스템을 접목한 결과, 세계 최초로 쥐의 두개골 훼손 없이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가시(dendritic spine)의 고해상도 형광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가시는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그 구조가 미세해 기존 현미경 기술로는 두개골을 제거해야만 관찰 가능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미징 속도를 증가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광학 수차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빛의 산란 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질병의 실시간 조기 진단 등 의생명 분야 활용 범위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1월 12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082,000
    • +11.08%
    • 이더리움
    • 4,635,000
    • +8.35%
    • 비트코인 캐시
    • 626,500
    • +7.28%
    • 리플
    • 856
    • +8.77%
    • 솔라나
    • 304,500
    • +9.89%
    • 에이다
    • 847
    • +12.19%
    • 이오스
    • 785
    • +2.35%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7
    • +8.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00
    • +8.44%
    • 체인링크
    • 20,400
    • +7.37%
    • 샌드박스
    • 416
    • +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