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메르스,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결과에 대한 부담 없는 R&D가 활발히 이뤄져야 하고, 기업과 연구소 간 협력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관한 ‘2020 과학기자대회’에서 ‘감염병과의 전쟁, 대한민국 R&D는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홍기종 대한백신학회 편집위원장은 “감염병으로 인한 대규모 경제적ㆍ사회적 손실과 위기를 막기 위해선 일정 수준의 소모적인 R&D가 필요하다”라며 결과에 대한 부담없는 R&D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 위원장은 “교통사고가 날 것을 대비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지 않듯 감염병 연구도 감염병이 나타날 것을 알고 개발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게 아니다”라며 “R&D를 했는데 결과적으로 감염병이 안 나타나는 게 가장 좋은 결과인 것처럼 소모적인 R&D도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홍 위원장은 “신약이든 진단기술이든 R&D에서 요구하는 시간은 일반인이 기대하는 것보다 길고 실패가 훨씬 많다. 그렇기 때문에 감염병을 막기 위해선 넓은 스펙트럼으로 쓸 수 있는 약물로 R&D 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창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장은 R&D 각 분야의 협력을 강조했다. 이 과장은 “코로나19처럼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바이러스가 왔을 때 신속하고 혁신적인 R&D를 위해선 기업과 연구소 등 각 분야의 협업체계가 필요하다. 분야 내 협업은 잘 되지만 분야를 뛰어넘는 협업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연구소에서 전문성을 가진 기관을 만들고, 그 기관이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만드는 식으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R&D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범태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장은 공공 R&D 지원하는 인프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단장은 “연구자와 기업이 협의체를 구성해 어떻게 결과물을 만들면 공동의 힘을 살릴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 미국은 빌게이츠가 펀드를 통해 공공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고, 유럽에서도 마찬가지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공 R&D 펀드가 부족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연구자와 기업 협의체를 구성해 감염병 사태에서 나오는 연구성과가 체계젹으로 개발되는 기회가 만들어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