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 더해 최근 자동차 업계의 노사 갈등이 불거지면서 부품업체 유동성 위기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1일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시장 불투명성이 높아지고 있고 부품업체들의 유동성 위기는 전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부분파업에 들어간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제까지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정부의 과학적 방역활동과 업계의 협력으로 자동차업계가 잘 대응해 왔으나 앞으로가 문제"라며 "특히 미국과 유럽 등에서의 코로나19 재확산과 산업 생태계의 전반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최근 재연되는 완성차 업체들의 노사 갈등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앞서 한국GM노조는 지난달 29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지난달 30일과 이달 2일 두 차례에 걸쳐 각각 4시간씩 부분파업을 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잔업 거부 등 행위로 6700대의 생산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협회 측은 추정했다.
협회는 "6년 연속 적자 후 산업은행이 7억5000만 달러, GM이 64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마련한 경영정상화방안에 따라 추진 중인 '흑자 전환을 위한 원년'에 부분파업에 돌입해 흑자전환은커녕 자칫 다시 적자 누적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게 됐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물량이 없어 판매하지 못할 정도로 미국 중심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 주문이 확대하는 상황에서 부분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로 또다시 흑자전환의 희망을 좌절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GM의 9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5% 증가했다.
협회는 "기술신보의 상생협약보증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등 유동성 위기에 처한 한국GM의 협력사들이 SUV 수출 주문 확대로 위기 탈피의 희망을 갖게 된 시점에 부분파업이 발생, 협력사의 유동성 위기가 다시 확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만기 협회장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지는 현재는 주주, 노동자, 경영자 등의 협조게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집단별 소집단 이기주의에 의한 단기이익 극대화보다는 중장기 기업 생존을 통한 전체 이익 극대화를 위해 양보와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