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농어업의 미래 신산업으로 주목받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을 내놨다. 산업기반 구축과 기술, 자금 등 기업 전주기 지원을 통해 2030년까지 산업규모와 고용을 2배 이상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1일 열린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36차 경제장관회의에서 10개 부처·청 합동으로 마련한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육성방안을 통해 마이크로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종자, 동물의약품, 곤충·해양·산림 생명소재를 5대 유망산업으로 선정했다. 이들 5대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핵심기술개발 △빅데이터 △인프라 △그린바이오 사업화 전주기 지원 △그린바이오 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을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먼저 5대 유망분야의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기술개발 로드맵 마련에 나선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옴은 유전체 분석, 포스트바이오틱스, 대체식품은 육류모사, 기능성 신소재, 종자 분야에서는 유전자가위, 디지털 육종, 동물의약품에서는 단백질 재조합, 줄기세포 치료, 생명소재에서는 생물 유래 소재 제형화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핵심기술에 대해서는 중장기 연구개발(R&D)를 주진해 선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빅데이터 플랫폼)'에 그린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수집해 연계하고, 슈퍼컴퓨팅센터, 유용미생물은행 등 빅데이터 활용 인프라를 구축한다.
관련 시설과 장비 확충,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마이크로바이옴, 식품, 종자 등 분야별 지원기관을 통해 인프라와 솔루션을 지원하고, 특수대학원 설립과 석사과정 계약학과를 개설해 전문 인력을 키운다.
기업의 전주기 지원을 위해서는 그린바이오 인증을 통해 연구, 자금 지원 등을 우대하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망 제품‧기업에 대해서는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패키지(연구개발·컨설팅·시제품 생산·시험‧평가 등)로 지원한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임상·대량생산을 위탁할 수 있는 임상대행기관(CRO), 제품생산대행기관(CMO)도 육성한다.
아울러 지역별로 국가식품클러스터, 민간육종단지, 곤충 거점단지 등과 같은 그린바이오 중점 육성지역을 선정해 산‧학‧연 및 시장이 상호 연계되도록 지원한다.
한편 5대 분야별 육성 방안도 함께 제시됐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프로바이오틱스, 생물농약·비료·사료첨가제 및 환경 분야를 중점 육성한다. 한국인 표준 장내 미생물 정보, 식품용 미생물 유전체 DB를 구축하고, 식품설계 기술, 유익균, 소재 발굴, 효과 검증 등 관련 연구의 산업화를 지원한다. 현재 2조9000억 원 수준인 국내 산업규모는 2030년까지 7조3000억 원으로 끌어 올린다.
대체식품의 경우 핵심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특히 기능성 신소재(난소화성 등) 및 맞춤형 식이설계 알고리즘 개발 등을 통해 질환자·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메디푸드를 활성화한다. 9000억 원에 불과한 산업규모는 연평균 13.1%씩 성장시켜 2030년까지 3조6000억 원으로 키운다.
종자산업은 디지털기반 산업으로 전환하고, 동물용의약품은 동물백신 개발 및 줄기세포 활용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곤충과 해조류, 산림소재 등 생명소재 산업은 곤충 스마트 사육 시스템을 위한 규제 개선과 합‧해조류 등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료소재 등의 개발‧상용화를 지원한다.
정부는 이 같은 육성방안을 통해 현재 4조5000억 원 규모인 그린바이오 산업의 규모는 2030년까지 12조3000억 원으로, 산업 고용 규모는 2만 명에서 4만30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