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코로나19(COVID-19) 감염증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술이 확대되고, 비대면 헬스케어 산업이 급격하게 발달할 것"이라며 "원격 의료가 당겨지고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시스템이 발전하는 등 코로나 이후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 회장은 지난 7일 열린 ‘글로벌바이오컨퍼런스(GBC 2020)’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위기가 기회다’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코로나 이후의 변화를 이같이 전망했다.
서 회장은 “코로나 이후에 어떤 변화가 올 것인가에 대한 (정확한) 답은 아직 모른다”고 전제한 뒤 “코로나는 전세계 재앙이자 위기다. 그러나 이 위기를 잘 반전시키면 기회가 될 수 있다. 모든 나라가 같은 선상에 있고 각 나라의 선택이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까. 위기가 기회가 되는 산업을 눈여겨 봐야한다는 것. 서 회장이 강조하는 키워드는 ‘디지털 헬스케어’다.
최근 IT기술 발전과 산업 간의 융합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의료산업에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서 회장은 “각국에서 고령화에 대비한 대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는 이미 어쩔수 없이 가야하는 방향이며 원격의료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코로나 위기로 시밀러에서 신약으로 나가는 계기가 됐다. 케미컬 합성 의약품도 한 축으로 가고 있다. 나아가 2030년을 목표로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도록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도 3년전부터 준비하고 있다”며 “위기는 항상 기회와 같이 공존한다. 앞으로 많은 스타트업 기업이 위기가 기회라는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선봉에 서서 뛰겠다”고 다짐했다.
서 회장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상황도 진단했다. 서 회장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언제 종식될까? 완벽한 백신과 치료제가 나올때까지 피해는 최소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어디가 유리하게 이 사태를 해결하는가의 게임을 하고 있다”며 “한국은 차분히 진행하고 있고, 유전자 재조합 및 단백질 재조합 백신 모두에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그가 강조하는 것은 생산 측면에서의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기반이다. 서 회장은 “한국은 2가지 축을 갖고 있다. 한국의 바이오제약회사들이 백신과 치료제를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개발한 백신 및 치료제도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한국의 생산시설로 올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전세계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의 15%정도를 갖고 있다. 이중 셀트리온이 6~7%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임상 개발과 생산 능력에서 가장 앞서는 국가”라면서 안정적인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글로벌 빅파마들이 상대적으로 앞서가는, 코로나 백신 자체가 가진 한계점도 있다고 봤다. 서 회장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한다고 해도 중화항체가 만들어지는 비율은 50%가 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며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감기 바이러스 특징이 있어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바이러스의 이동과 분열을 막아 증식되지 않도록하고, 바이러스의 독성이 염증을 일으켜 환자의 장기를 손상키는 것을 막는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서 회장은 지적했다.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나 노인에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꼽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면역력이 없는 환자에게도 치료할 수 있는 항체 치료제 개발이 절실하다고 서 회장은 강조했다. 그는 “셀트리온도 전세계 선두그룹 중 하나로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며 "한국 규제기관과 협력해 9월말부터 임상2상 내지 임상3상을 진행할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임상2상에서 안전성 대비 효능이 탁월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올해 연말에 식약처에 긴급승인을 신청할 수 있을 것이고, 늦어도 내년 5월에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발맞춰 셀트리온은 9월부터 대규모 생산을 선행적으로 진행하는 계획을 세웠다. 임상이 끝나고 국민에게 치료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생산기지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