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치료·격리시설 확보다. 단순히 재정·인력을 투입하는 걸 넘어 시설 인근 주민들을 설득해야 해서다. 그 최전선에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환자시설팀이 있다. 유보영<사진> 중수본 환자시설팀장은 본래 직책이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장이다. 복지부 공무원의 3분의 1이 유 팀장처럼 중수본에 차출돼 방역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생활치료센터 개소는 난이도가 ‘상급’에 속한다. 유 팀장은 “생활치료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다 보니 여전히 주민들의 반발이 심하다”고 토로했다.
현재 중수본은 경기·수도권 1생활치료센터(광주시 고용노동연수원)와 경기·수도권 2생활치료센터(안산시 중소벤처기업연수원)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천안시 우정공무원교육원을 충청권 공동 생활치료센터로 개소했다. 생활치료센터에선 주로 무증상·경증 환자를 치료한다. 그런데 천안에선 일부 주민들이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유 팀장은 “생활치료센터 설치가 님비(NIMBY·지역이기주의)가 되면 그 자체에 거부감이 생겨 설득도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엔 코로나19 해외유입이 늘면서 외국인 환자 관리도 주요 업무가 됐다. 유 팀장은 “최근 격리 중 확진자가 줄면서 생활치료센터 병상에도 여유가 생겼다”며 “입국 단계에서 확인되는 외국인 확진자는 천안 우정공무원교육원에서 내국인 확진자와 함께 치료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을 하면서 보람도 느낀다. 생활치료센터는 지역경제에 간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센터 내 식사 제공, 소독, 의료폐기물 처리 등을 지역 업체가 담당해서다. 영덕군·울진군 등 일부 지역 주민들은 생활치료센터 의료진 등과 환자들에게 ‘대게’로 고마움을 표현했다. 유 팀장은 “여전히 어려운 게 사실이지만 생활치료센터에 대한 인식이 과거보단 개선됐다”고 말했다.
현재 생활치료센터 확충 계획은 없다. 유 팀장은 “몇몇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생활치료센터를 개소했지만, 실제로 운영 중인 센터는 일부에 불과하다”며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으면 센터를 늘리지 않아도 충분히 확진자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