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부터 본사가 대리점이 원하지 않는데도 제품 구매를 강요하면 부당행위(일명 끼워팔기)로 간주한다.
또 대리점의 동의 없이 영업직원을 다른 곳으로 인사이동 시킬 경우 제재를 받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리점분야 불공정거래행위 심사지침 제정안'을 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심사지침은 본사가 대리점에 행하는 '갑질' 등 실제 법 위반 사례를 반영하고, 대리점법 조항별 불법행위 판단기준을 상세하게 정했다.
우선 대리점법의 6조 '구입강제행위'는 본사가 대리점의 의사에 반해 상품 등을 구매하도록 강요하거나 주문 내용을 일방적으로 수정하는 행위로 규정했다. 상품의 경쟁력 등과 관계없이 대리점이 원치 않는데도 구매를 강요하는 경우 '끼워팔기'로 판단한다.
7조 '경제상 이익제공 강요행위'는 본사가 판매촉진비용을 일방적으로 대리점에 떠넘기거나 기부금과 협찬금 등을 부담시키는 행위, 본사가 대리점 직원을 실질적으로 고용하고도 인건비를 대리점에 떠넘기는 행위 등으로 규정했다.
8조 '판매목표 강제행위'는 본사가 대리점에 판매목표를 정해주고 이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계약 중도해지·공급 중단·판매 수수료 미지급 등 불이익을 주는 행위가 그 대상이다.
9조 '불이익 제공행위'에는 본사가 계약 기간 중 일방적으로 수수료 지급기준을 대리점에 불리하게 변경하는 등 거래조건을 설정·변경해 대리점에 불이익을 주는 행위가 해당한다.
10조의 '경영활동 간섭행위'는 대리점이 임직원을 선임하거나 해임할 때 본사의 지시·승인을 받게 하는 행위, 대리점의 거래처와 영업지역 등에 대해 본사가 개입하는 행위 등으로 규정했다. 가령 대리점의 의사에 반해 대리점의 영업직원을 공급업자의 직영점 또는 다른 대리점에서 근무하도록 지시하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된다.
공정위는 "심시지침 제정으로 대리점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행위가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