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오는 11일 임시 이사회를 열어 디스커버리 펀드 피해 선지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일 윤 행장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 간 간담회가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서 임시 이사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기업은행은 전무이사를 단장으로 내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해결방안을 논의 중이다. 우선 투자금 일부(투자 원금의 50%)를 투자자에게 선지급한 뒤 미국에서 자산 회수가 이뤄지는 대로 나머지 투자금을 돌려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임시 이사회를 통해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기획·운용한 사모펀드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 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씨가 대표로 재직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2017년부터 2019년에 걸쳐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US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 원, 3180억 원을 판매했다. 하지만 미국 운용사가 펀드 자금으로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각각 695억 원, 219억 원이 환매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전일 윤 행장과 대책위의 면담은 성과 없이 끝났다. 대책위는 면담을 통해 이번 사태의 원인과 판매과정에서 드러난 불법적 사례를 윤 행장에게 전달하고 답변을 들을 계획이었다. 당초 한 시간으로 예정됐던 간담회는 길어져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대책위는 △모든 투자자에게 전액배상 선지급(이자를 포함한 원금의 110%) △기업은행장 주관 피해자 공청회 개최 △기업은행 이사회 참관·발언 기회 보장 △펀드 도입 판매 책임자 2인에 대한 파면(중징계) 등을 요구했다.
윤 행장은 대책위의 요구사항에 원론적인 답변만 되풀이했고 명확한 답은 하지 않았다.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 줘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배상 방식과 절차에 있어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 측은 사실상 의견 청취의 성격이 강했던 만큼 대책위의 요구 사항을 면밀하게 듣는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디스커버리 판매 사례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조사가 진행 중이고, 선지급 여부 등의 방안을 이사회에서 결정해야 하는 만큼 윤 행장이 말을 아낀 것으로 보인다.
대책위는 이사회 개최일인 11일에 5차 집회를 진행하는 등 규탄 시위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