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 구매력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률과 물가 하락이 이어진 데다, 미중 무역분쟁에 환율이 큰 폭 절하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연말까지 최근 수준을 유지한다면 1인당 국민총소득 3만 달러 시대도 4년 만에 위태로울 수 있다고 봤다.
반면, 노동소득분배율은 역대최고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이 일정부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원화 기준으로는 2026만 원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2000만 원대를 넘어섰다. 이는 전년대비 1.94%(38만6000원) 증가한 것이다.
PGDI란 국민총소득(GNI)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가계 입장에서는 와 닿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의 소득을 합산한 것으로 제한적이나마 가계의 구매력을 엿볼수 있게 개발된 지표다.
GNI는 전년대비 4.13%(715억 달러) 감소한 1조6606억 달러를, 1인당 GNI는 전년보다 4.32%(1449달러) 줄어든 3만2115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 역시 각각 2009년(각각 -9.95%, -10.4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다만, 원화 기준으로는 각각 1.6% 증가한 1935조7000억 원과 1.4% 늘어난 3743만5000원을 나타냈다.
이는 우선 경제성장률(GDP)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실질 GDP는 2.0%에 그쳐 2009년(0.8%)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계속되면서 민간소비(1.7%)와 수출(1.7%) 증가세가 둔화했다. 이에 따라 민간부문 기여도는 1.1%포인트에 그쳐 2009년(-2.3%포인트) 이후 가장 낮았다. 그나마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통해 정부소비(6.6%)를 늘리면서 경기를 받쳤다. 실제 정부 기여도는 1.6%포인트를 기록해 2009년(2.3%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물가까지 고려한 명목 GDP도 1.1%에 그쳤다. 이는 1998년(-0.9%) 이후 최저치다.
총체적 물가흐름을 엿볼 수 있는 GDP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이는 1999년(-1.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3월부터 0%대를 지속하는 등 부진이 이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환율 급등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지난해 원·달러 평균환율은 1165.65원으로 전년대비 5.94%(65.35원) 급등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소득은 성장률과 디플레이터에다 환율이 영향을 미친다”며 “올해의 경우 성장률을 최근 한은 조사국 전망치(-0.2%)로 보고, 디플레이터를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최근 수준인 1250원 내지 1260원 수준을 연말까지 지속한다면 1인당 GNI는 3만달러를 하회할 수도 있겠다”고 설명했다.
박 국장은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국민총소득 증가율을 웃돌며 노동소득분배율이 역대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과 근로자계층의 소득을 높여 경제성장을 높이자는 게 소득주도성장이다. 분배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