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배나무를 말라 죽게 하는 과수화상병이 전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대응상황을 '경계'로 상향하고 대응에 나선다.
농촌진흥청은 기존 발생지역인 충주시를 중심으로 과수화상병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난 달 31일 현재 총 87개 농장(48.7ha)에서 확진됐다고 1일 밝혔다.
과수화상병은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 주로 5월~6월에 발생하는데, 최근 내린 비와 적당한 온도(25~27℃)로 예년에 비해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용범 농진청 차장은 "그동안 발생이 없었던 전북 익산시에서도 1건이 확진됐고, 특히 최대 사과 주산지 중의 하나인 경북 영주시에서도 의심신고가 접수돼 보다 강력한 방제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충주 지역에 대해서는 사과·배 농장 전체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 달 27일부터 29일까지 3개 읍면 569개 농장 243ha를 대상으로 1차 조사한 결과, 54개 농장에서 의심증상이 확인됐고 5일까지는 농가의 협조를 얻어 충주지역 전체 농장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번에 처음 의심신고가 접수된 영주시와 인근지역인 문경, 예천, 봉화 등 경북의 사과 주산지 농장은 지난 달 30일부터 인력 28명을 투입해 조사가 진행 중이다.
처음 발생한 익산은 발생지점에서 100m 이내에는 과원이 없고, 2㎞ 반경 8개 농장에 대해 긴급 조사를 마쳤으며 추가로 5㎞ 반경 13개 농장은 예찰을 실시 중이다.
앞서 지난 달 25일 농진청은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조정했고, 일주일 만에 '경계'로 격상했다.
위기단계가 상향조정됨에 따라 발생시군 중심으로 설치·운영되던 과수화상병 대책상황실을 각 도(제주 제외)와 사과·배 주산지 시·군, 발생 인접 시·군에 확대 설치해 운영한다.
대책상황실에서는 인력을 총동원해 확산방지를 위한 긴급예찰과 매몰 지원, 사후관리 등 공적방제를 추진한다. 또 집중발생지역은 중앙에서 전문가를 파견해 현장조사를 추진하게 되며, 농림축산식품부, 검역본부(역학조사), 지자체, 농협 등 유관기관간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충주와 같이 발생이 많은 지역은 현행 확진절차를 간소화한다. 진단키트를 이용한 간이검사 후 농진청에서 정밀검사를 통해 확진하던 것을 시급한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농진청의 식물방제관이 현장에서 재진단해 양성일 경우 즉시 확진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한 주만 발생해도 전체를 매몰하던 것을 발생주율이 5% 미만인 경우에는 발생주만 제거하되, 예외적으로 이번 충주와 같이 감염되어 확산되고 있는 지역은 발생주율이 5% 미만인 경우에도 방제관 판단에 따라 신속히 매몰할 수 있도록 보완했다.
김경규 농진청장은 "세계적으로도 방제기술이나 방제약제가 개발되지 않은 과수화상병으로 피해를 입은 과수농가를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다"며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며, 현재 진행 중인 방제기술 개발에 가용 가능한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