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전 세계 공급망이 멈춰선 가운데, 스마트공장이 생산 문제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이란 주장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스마트공장 도입에 나서야 한단 분석도 나온다.
5일 중소기업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에서 스마트비즈니스 정책으로'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차단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스마트공장을 통한 ‘리쇼어링’이 부각되고 있다. 리쇼어링이란 해외에 나가 있는 자국 기업을 정책 등을 통해 자국으로 다시 불러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현지 맞춤형 생산을 지향하는 스마트공장의 특성 때문이다.
현재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산 자동차부품 조달 문제가 발생하면서 국내 완성차 조업이 중단되고, 주요 공장이 위치한 해외 국가에서는 한국인 기술인력 입국 금지 조치가 내려지는 등 생산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스마트공장은 다시금 재조명받고 있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스마트공장 도입ㆍ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5600개 보급을 위해 4150억 원을 투입한다. 또 2030년까지 스마트공장 보급률 100% 달성을 위해 ‘제조업 혁신성장 및 경쟁력 강화 특별법’,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 혁신 촉진 특별법’를 제정할 계획이다.
다만 현재 스마트공장의 양적인 보급 확대 중심 정책에 대한 우려 및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점은 문제다. 도입공장 대다수가 기초 단계에 불과하고 고도화 단계는 전무하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은 이에 따라 스마트공장 정책의 양적 확대에서 질적 도약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자료를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따른 차별적 스마트공장 고도화 촉진 △생산공정을 중심으로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비즈니스 스마트화 추진 △대ㆍ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동반성장 비즈니스로 확대 등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강재원 연구위원은 “스마트공장 기술 도입 및 고도화 관련 대ㆍ중소기업 협업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도입ㆍ고도화 촉진을 위해 적정수준의 기대수익 보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