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야 청년들도 도전하고 뛰어놀 수 있는 판도 커집니다.”
박대성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는 1일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정치 입문 계기를 밝혔다. 글로벌 기업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규제를 혁신해 세계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포부다.
이번 한국당 비례대표 후보(총 39명)에서 2030 청년 후보는 단 5명에 불과하다. 박 후보는 청년 경제인 출신으로 페이스북 코리아 대외정책 부사장 경험을 인정받았다. 그는 “페이스북에 근무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무한 경쟁을 현장에서 경험했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에서 근무하는 동안 그는 세계 각국 정부가 벌인 과감한 규제 개혁을 주목했다. 경쟁력 있는 기업 뒤엔 정부가 과감하게 규제를 개혁하면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줬다는 설명이다. 박 후보는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시장의 생존 전략을 살펴보니 기업만 잘해서 살아남은 것이 아니었다”며 “정부가 규제 혁신에 나서고 미래산업 발전을 지원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규제는 여전히 과거 수준에 머물렀다고 문제점을 짚었다. 박 후보는 “오늘날 글로벌 IT 기업들은 디지털 화폐, 가상 현실과 같은 신기술을 바탕으로 치열한 혁신 경쟁을 벌이는데 우리는 이를 규제 대상으로 인식하기에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시장적인 정부 정책이 이어지고, 청년 IT 기업이 위축되는 폐해가 생겼다고 언급했다.
박 후보는 “특히 청년 IT 기업가들의 스타트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기업인의 혁신을 뒷받침하는 정치를 결심한 이유”라고 밝혔다. 이어 “청년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자유롭게 창업하고 도전할 수 있는 나라를 꿈꾼다”고 설명했다. 시장 생태계가 역동적일수록 청년들도 도전할 수 있는 판도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어 ‘정부’가 아닌 ‘청년’ 주도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신세대를 위한 비즈니스는 신세대가 제일 잘 이해하고 만들 수 있다”며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기성세대들이 규제를 만들수록 청년들의 창업 도전은 출발부터 가로막힌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규제가 필요하다면, 탁상행정식이 아닌 스마트한 방식으로 접근할 것”이라며 “데이터를 근거로 편익을 분석하고, 관련 업계와 시민들의 합의를 거쳐 시장혁신을 함께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