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과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4년만에 뒷걸음질쳤다. 감소폭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특히, 원화기준 명목 GDP 증가율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래 가장 저조했다.
실질 GDP 성장의 4분의 3은 정부가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적 인플레이션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GDP디플레이터는 13년만에 마이너스를 보였다.
명목 GDP 또한 4.6% 줄어든 1조6420억달러를 보였다. 이 또한 2015년(-1.3%) 이래 첫 감소세며, 2009년(-9.8%)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원화기준으로는 1914조원으로 전년보다 1.1%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0.9%) 이래 가장 낮은 증가세다.
실질 GDP는 2.0% 성장해 속보치와 같았다. 기여도 측면에서 보면 정부는 1.5%포인트를, 민간은 0.5%포인트를 각각 차지했다.
박성빈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전체적으로 보면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정부의 성장기여도가 높아졌다.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 하향 국면에서 수출증가세가 둔화하고 투자조정이 이어지면서 민간쪽 성장세가 약화한 반면, 이에 대응해 정부가 경기 안정화차원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을 운용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1인당 국민총소득이 낮아진 것은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가치 하락)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원·달러 평균환율은 2018년 1100.30원에서 2019년 1165.65원으로 5.94%(65.35원) 급등한 바 있다.
GDP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0.9% 하락했다. 이는 2006년 0.2% 하락 이후 첫 내림세로 1999년(-1.2%) 이후 가장 낮았다.
박 부장은 “내수 디플레이터가 둔화한데다, 반도체값 하락으로 수출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로 전환한 때문”이라며 “저성장 저물가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쪽에서는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수입쪽에서는 원유와 천연가스 등 국외비중이 큰 부문들이 영향을 미쳤다. 지속적 구조적이라면 모를까 이런 부분들이 일시적으로 변동성이 심했다는 점에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