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활성화로 소득 안정…40대 은퇴자 정착 정책 제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최근 대통령 부처 업무보고 뒤 농업계 종사자들을 만나 이같이 말했다. 청년농과 사회적 법인, 로컬푸드 업체 대표 등 다양한 분야 11명이 참석한 이 자리는 올해 추진 상황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듣는 동시에 농촌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이들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농촌에서 자리를 잡기도 했고, 규모를 키워 수출로 눈을 돌리거나 지역 인재를 채용하는 등 말 그대로 농촌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며 겪은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했다.
이들은 올해 농식품부의 업무 추진 방향을 두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지만, 정책이 미처 신경 쓰지 못했거나 아쉬운 부분들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이날 나온 의견들을 모아 앞으로 농정에도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간담회에서 먼저 김 장관은 시설농업 등 농촌 창업에 대해 말을 꺼냈다. 그는 "시설농업을 하는 데는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준비를 많이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창업 전에 임대농장도 해보고, 교육도 받고 실습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농식품부의 펀드 지원 사업도 소개했다. 그는 "자기가 하는 사업을 고부가가치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각과 시도가 필요하다"며 "그래서 정부는 올해 영파머스펀드를 비롯해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정부가 창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당 부분 책임을 지겠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영파머스펀드를 포함해 1160억 원 상당의 펀드를 조성해 창업부터 성공까지 균형 있는 투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영파머스펀드는 40세 미만 청년 농업인을 대상으로 3억 원 이내 소액 투자로 혁신적인 사업화를 신규 지원한다.
새로운 창업 분야로 사회적 농업에도 관심이 높다고 언급했다.
사회적 기업인 에코맘의산골이유식 오천호 대표는 "농업에서 젊은 사람들이 성장 동력이지만 현재까지는 농업을 지켜주신 어르신들이고 윗세대에 대한 고마움을 가져야 한다"며 "청년을 지원하는 한편 이들이 들어와서 생활할 수 있는 농촌 인프라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김 장관은 "경기 안성 홍동면 등을 보면 조합원 400명이 모여 의료생협 만들어서 의사도 있고, 동네 주민들에게 의료서비스 제공하고 있다"며 "지역에 토착해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같은 방안들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보겠다"고 답변했다.
1차 농업에 대한 관심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경북 영천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청년창업농 박덕수 씨는 "1차 생산은 너무 조명을 받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며 "특별하지 않은 것이 가장 특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규원 경남딸기원묘영농조합 대표도 "올해로 딸기를 20번 심었지만 소득이 안정된 것은 불과 5년"이라며 "2~3번 경험해서는 제대로 할 수 없는데 청년들은 천천히 시작해서 이뤄갈 수 있지만 중간 은퇴자 등 40대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장관은 스마트팜 활성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스마트팜이라고 하면 유리 온실 잘해놓은 것만 생각하는데 물 주는 것 비료 주는 것도 스마트하게 해야 한다"며 "앞으로 노지농업도 스마트 농업의 한 축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스마트팜에 대한 경험 축적이 관건이라는 현장의 목소리도 있었다. 이하영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은 "스마트팜이 좋다는 얘기는 많지만 안좋은 점도 있어서 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 있는 눈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도 활성화 돼야 한다"며 "설치하고 AS 등은 농업인도 숙지하고 있어야 하고, 사후 상황에 대한 대책도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이 많지만, 기반 없이 시작하는 청년들은 혁신밸리 내에서 경제적으로 가능한 정도에 한해 경험 쌓아서 창업까지 이어질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