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복지위 긴급현안질의… 아산·진천 격리지역 결정 논란에 김강립 차관 "혼선 초래 사과"

입력 2020-01-30 14: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 전체회의에서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오른쪽)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간부들이 출석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관련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 전체회의에서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오른쪽)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간부들이 출석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관련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우한 폐렴) 사태로 중국 우한에서 귀국하는 교민들의 격리 수용 시설 지정에 대한 지역 주민 반발이 이어진 가운데,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지역사회에 상당한 불만과 혼선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30일 국회 보건복지위 현안질의에 출석해 "정부의 최종 발표 지역과 다른, 일차적인 중간 내용이 언론에 공개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아산과 진천으로 선정한 이유가 무엇인가. 주민의 항의 내용을 보면 진천은 유치원, 초·중·고교가 시설 주변에 줄지어 있고, 2만6000여 명이 밀집하고 있다"며 "또 농촌지역이라 고령의 어르신이 많아 질병에 취약하고, 감염대책에도 미흡한 지역"이라고 말했다.

오제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우한교민 수용 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진천과 아산 주민이 반발과 유감을 표하고 있다"며 "주변 상황이나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지 않고 (복지부가) 일방적으로 정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차관은 "교민 입국 이후 임시생활 시설 보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 사전에 해당 지역 주민들의 동의와 양해를 구하는 데 소홀했던 한계도 있었다"고 했다.

김 차관은 충북 진천과 충남 아산의 공무원 교육 시설을 교민 임시생활 공간으로 최종 결정한 이유에 대해 "운영 주체가 국가 기관이어야 한다는 원칙하에 수용 능력과 관리 용이성, 공항으로부터 무정차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항의를 님비현상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아직은 정확한 치료법과 치료제가 나오지 않은 질병에 대해 지역 주민으로서 불안감이 클 수밖에 없다"며 "그분들의 불안을 덜어드릴 조치를 완벽하게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게 정부의 책무"라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경영권 분쟁에 신난 투자자들…언제까지 웃을 수 있을까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AI·카메라 컨트롤 기능 기대감”…아이폰16 출시 첫날 ‘북적’ [르포]
  • 바닥 아래 바닥도 뚫렸다…추락하는 中펀드
  • '로또보다 더 로또' 강남 분상제 아파트 잡아라…청약 경쟁 '치열'
  • '전참시' 허미미, 독립운동가 허석 의사 후손…"한국 오기 전까지 몰라"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339,000
    • +0.16%
    • 이더리움
    • 3,480,000
    • +2.05%
    • 비트코인 캐시
    • 459,100
    • +2.45%
    • 리플
    • 800
    • +2.56%
    • 솔라나
    • 197,900
    • +1.02%
    • 에이다
    • 475
    • +0.64%
    • 이오스
    • 693
    • -0.29%
    • 트론
    • 203
    • +0%
    • 스텔라루멘
    • 13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400
    • +1.16%
    • 체인링크
    • 15,200
    • +0.46%
    • 샌드박스
    • 378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