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증권은 21일 홍콩 사태가 미중 관계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 분쟁에 대한 낙관적인 시장 기대를 잠재우면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9일 미 상원에서 홍콩 인권법과 보호법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는 소식에 미-중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며 ”미국은 1992년 미국-홍콩 정책법을 통해 홍콩의 반환 이후 무역과 금융부문에서 중국 본토와 차별적 대우를 했고 무역분쟁 상황에서도 홍콩은 추가관세 대상이 아니었지만 인권법의 내용은 이 같은 특혜를 제한하는 내용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를 상정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홍콩을 중심으로 한 불협화음이 당분간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홍콩 사태가 미-중 무역협상과 연계되어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15일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무역분쟁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증시 부담 요인이라고 봤다.
또 홍콩 사태가 조기에 결론을 도출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펀더멘털 측면의 우려도 제기했다. 홍콩에 대한 한국 수출 비중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 홍콩 수출은 전체 수출의 7.6%를 차지해 전체 수출 대상국 가운데 4위였다. 조 연구원은 “10월까지 합산 금액 기준으로 그 비중이 5.9%로 줄어들기는 했지만 중요한 교역 대상국 중 하나임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특히 수출품 비중을 보면 전체 수출의 73% 가량이 반도체로 집계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조 연구원은 한국이 홍콩으로 수출하는 물량은 대부분 홍콩을 경유해 중국에 재수출된다는 점에서 수요처로 직접 노출 노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홍콩의 한국 수입 중 중국으로 재수출 하는 비중은 평균 81%(금액기준, 최근 10년 평균)에 달한다”며 “사태 심화로 수출 회복 시점 이연 등에 대한 우려가 단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해도 실질적인 피해가 심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