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사태 장기화로 무역분쟁 불확실성↑”-유안타증권

입력 2019-11-21 08: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일(현지시간) 홍콩이공대 탈출을 시도하던 시위대가 경찰에 제압되고 있다. 홍콩/로이터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홍콩이공대 탈출을 시도하던 시위대가 경찰에 제압되고 있다. 홍콩/로이터연합뉴스

유안타증권은 21일 홍콩 사태가 미중 관계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 분쟁에 대한 낙관적인 시장 기대를 잠재우면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9일 미 상원에서 홍콩 인권법과 보호법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는 소식에 미-중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며 ”미국은 1992년 미국-홍콩 정책법을 통해 홍콩의 반환 이후 무역과 금융부문에서 중국 본토와 차별적 대우를 했고 무역분쟁 상황에서도 홍콩은 추가관세 대상이 아니었지만 인권법의 내용은 이 같은 특혜를 제한하는 내용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를 상정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홍콩을 중심으로 한 불협화음이 당분간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홍콩 사태가 미-중 무역협상과 연계되어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15일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무역분쟁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증시 부담 요인이라고 봤다.

또 홍콩 사태가 조기에 결론을 도출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펀더멘털 측면의 우려도 제기했다. 홍콩에 대한 한국 수출 비중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 홍콩 수출은 전체 수출의 7.6%를 차지해 전체 수출 대상국 가운데 4위였다. 조 연구원은 “10월까지 합산 금액 기준으로 그 비중이 5.9%로 줄어들기는 했지만 중요한 교역 대상국 중 하나임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특히 수출품 비중을 보면 전체 수출의 73% 가량이 반도체로 집계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조 연구원은 한국이 홍콩으로 수출하는 물량은 대부분 홍콩을 경유해 중국에 재수출된다는 점에서 수요처로 직접 노출 노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홍콩의 한국 수입 중 중국으로 재수출 하는 비중은 평균 81%(금액기준, 최근 10년 평균)에 달한다”며 “사태 심화로 수출 회복 시점 이연 등에 대한 우려가 단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해도 실질적인 피해가 심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AI 챗봇 서비스 ‘나노아’ 본격 적용…“생성형 AI 전방위 확대”
  • 김호중ㆍ황영웅 못 봤나…더는 안 먹히는 '갱생 서사', 백종원은 다를까 [이슈크래커]
  • 내년도 싸이월드가 다시 돌아온다?…이번에도 희망고문에 그칠까
  • 나홀로 소외된 코스피…미 증시와 디커플링보이는 3가지 이유
  • 점점 오르는 결혼식 '축의금'…얼마가 적당할까? [데이터클립]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현대차·도요타도 공장 세우는 ‘인도’…14억 인구 신흥시장 ‘공략’ [모빌리티]
  • 예비부부 울리는 깜깜이 '스·드·메' 가격 투명화…부당약관 시정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258,000
    • +8.84%
    • 이더리움
    • 4,770,000
    • +6.31%
    • 비트코인 캐시
    • 634,000
    • +3.43%
    • 리플
    • 926
    • +12.79%
    • 솔라나
    • 308,100
    • +3.04%
    • 에이다
    • 856
    • +2.88%
    • 이오스
    • 807
    • +2.54%
    • 트론
    • 246
    • +6.49%
    • 스텔라루멘
    • 175
    • +13.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50
    • +2.02%
    • 체인링크
    • 20,640
    • +4.67%
    • 샌드박스
    • 435
    • +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