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들이 ‘2030 맞춤형’ 공약을 내놓으며 젊은층 표심을 잡기에 나서고 있다. 다음 총선의 최대 승부처가 20~30대의 표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층을 위한 정책개발에 적극 나서며 ‘청년층 공략’에 뛰어들었다. ‘조국 사태’로 등을 돌린 젊은이들의 표심을 여당이라는 장점을 활용해 반전시킨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최근 모병제 도입에 이어 ‘청년신도시’ 조성, ‘청년 주거 국가책임제’ 등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공약을 검토하면서 청년 공약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민주당이 최근 공개한 공약은 대부분 청년정책이다. 청년 표심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음을 보여준다. 총선 준비 기구에도 젊은층을 대거 투입하고 선거에도 청년들을 대거 출마시킨다는 방침이다.
총선 후보 경선 심사에서도 청년에 대한 가점 범위를 10∼20%에서 10∼25%로 확대하는 내용의 공천룰을 확정했다. 총선 비례대표의 청년 비중 확대를 위해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확정하는 국민공천심사단 구성원 절반을 20∼30대로 채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자유한국당도 청년층 끌어들이기에 팔을 걷어붙였다.
황교안 대표는 19일 홍익대 인근에서 청년정책 비전을 발표하며 청년정책 띄우기에 본격 나선다. 이번 비전은 내년 총선에서 청년 공약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황 대표는 발표 현장에서 청년들로부터 정책 아이디어나 당에 대한 비판을 듣는 대화의 시간도 갖는다. 청년 세대와 소통하겠다는 의지 표현이다.
청년기본법 통과에도 힘을 쏟고 있다. 청년기본법은 ‘취업을 원하는 자’로 한정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의 청년 규정을 ‘19∼34세의 사람’으로 확대하고 고용·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 청년정책을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국당은 13일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정시 선발하는 인원을 50% 이상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개정안도 제출했다.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국가장학금 예산 증액’ 방침도 정했다.
바른미래당은 ‘대학을 안 가도 되는 나라’를 청년정책 기조로 내세웠다. 2017년 대선에서 국민의당 후보였던 안철수 전 대표가 제시했던 ‘5-5-2’ 학제 개편안을 손질해 총선 때 다시 선보이겠다는 것이다. 고등학교는 직업을 찾는 교육기관으로, 대학은 평생 교육기관으로 전환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신당 창당을 추진 중인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은 창당기획위원 7명을 모두 1978∼1988년생 청년으로 구성했다. 창당 과정부터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젊은 신당’ 이미지를 구축하겠다는 의지에 따른 것이다.
정의당은 총선에서 청년층 지지율 2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의당은 ‘병사 월급 100만 원 시대’를 열겠다며 군 장병 월급을 최저임금에 맞추고, 상속세를 거둬 20세가 되는 청년에게 1000만 원씩 배당하는 ‘청년 사회상속제’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