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11일 4차 산업혁명 시대 해양수산 분야 혁신성장을 위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을 발표했다.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해양수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취임 후 4차 산업혁명 기술 전문가와 해양수산 전문가가 참여하는 ‘해양수산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구성하고 방향과 추진과제에 대해 자문을 받았다.
이번 전략은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 세계시장 50% 점유 △스마트양식 50% 보급 △사물인터넷 기반 항만 대기질 측정망 1000개소 구축 △해양재해 예측 소요시간 단축(12시간→4시간) △해양수산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해운‧항만, 수산, 해양공간(환경‧재해‧안전)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적용 가능성, 현안‧문제 해결 가능성, 국민·종사자에 제공하는 가치 등을 고려한 9대 핵심과제 및 25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에 나서 2025년에 레벨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2030년까지 레벨4 수준의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을 개발, 세계시장의 50%를 점유하기로 했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입·출항 관리, 운항지원센터, 최적 하역, 연료 충전 등을 지원하는 차세대 항만운영 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현재 40시간 이상이 걸리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처리가 2030년엔 24시간 이내로 40% 이상 줄어든다.
자율운항선박과 스마트항만 간 정보 교환 등 해상에서의 초고속 통신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LTE-M 등의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년부터 e내비게이션(e-Nav) 서비스를 개시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이·접안과 항만 자동하역 등을 지원하기 위해 오차범위 10cm 이하의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PNT)도 2025년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수산 분야에서는 어업인들이 어종·어획량을 해상에서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전자어획보고시스템 등 스마트 어업관리 모델을 도입한다. 2030년까지 근해어선 100%, 연근해어선의 25% 등 1만 척에 지능형 CCTV 기반의 인공지능 옵서버를 탑재해 어획량, 어종, 불법조업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인공지능으로 최적으로 사육하고 24시간 무인관리가 가능한 스마트양식도 도입해 2030년까지 50%(현재 2.5%)를 점유할 계획이다.
수산물 유통 분야에서는 선상에서 바로 어획물 정보를 온라인에 공개에 경매하는 선상 온라인 경매 시스템, 스마트 위판장 구축, 영상으로 확인하고 바로 주문하는 캠 마켓 구축 등도 2030년까지 30개소 목표로 추진한다. 스마트 어상자, 스마트 포장재, 스마트 가공 공장도 구축한다.
아울러 해양쓰레기 전주기 관리 플랫폼, 항만지역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물 인터넷 기반 대기오염 측정망 2030년까지 1000개소 구축, 해양관측 기술 고도화로 해양재해 예측시간 단축 등도 추진한다. 특히 기존 선박과 관측장비가 접근할 수 없는 해역까지 관측망을 확대해 10대 해양재난·재해의 분석 예측 시간을 현재 12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 등 스마트 기술・장비를 활용해 여객선, 낚시어선 등 연안·소형 선박의 안전관리와 해양활동 안전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사망·실종 등의 사건사고를 30% 감소한다는 목표다.
이러한 9가지 핵심과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토대로 해운·항만, 수산, 해양공간 3대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핵심과제 이행에 필요한 법령·제도 개선, 기술·장비 표준화 등의 기반 조성과제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다.
문 장관은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해양수산업이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략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