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百의 '캐시미어 100% 니트', 한 달 만에 5만여 장 판매...평창 롱패딩 넘어서

입력 2019-11-05 06:00 수정 2019-11-05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롯데백화점)
(사진제공=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이 선보인 ‘캐시미어 100% 니트’가 한 달 만에 누적판매량 5만 장을 넘어섰다.

롯데백화점은 창립 40주년을 맞아 9월 27일부터 판매를 시작한 ‘캐시미어 100% 니트’가 한 달여 만인 2일까지 총 5만여 장의 판매를 기록해 2017년 12월 큰 이슈였던 ‘평창 롱패딩’의 판매량인 3만여 장을 뛰어넘었다고 5일 밝혔다.

캐시미어 소재는 무게가 가볍고, 보온 효과가 우수해 고가 원단으로 꼽힌다. 롯데백화점은 사전 기획을 통한 대규모 물량 확보를 통해 캐시미어 100% 소재의 여성용 니트를 8만8000원에, 남성용 니트를 9만8000원이라는 10만 원 이하의 합리적인 가격을 책정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9월부터 기획하기 시작해 내몽고 지역의 캐시미어 원사를 대량으로 매입하고, 체계적인 생산 계획을 세움으로써 남성ㆍ여성용 니트를 10만 원 이하 가격에 선보일 수 있었다.

또 블랙, 그레이 등 무채색뿐 아니라 고객의 취향을 반영한 레드, 핑크, 오렌지 등을 포함해 총 37종의 다양한 색상을 준비한 것이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었다.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도 캐시미어 판매량 증가에 한몫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4일 서울 한낮 기온이 19도까지 오르는 등 평년 기온을 4도가량 웃돌고 있고, 11월 하순과 12월 상순의 기온도 평년보다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두꺼운 외투보다는 보온성이 높고 가벼운 캐시미어 니트에 가벼운 외투를 선호하는 고객들이 늘어난 것이다.

김준경 롯데백화점 PB 운영팀 치프바이어는 “비교적 고가의 소재인 캐시미어를 누구나 따뜻하게 입을 수 있는 편안한 아이템으로 만들고자 한다”며 “캐시미어를 필두로 니트 전문 브랜드인 ‘유닛’의 연 1000억 목표를 위해 고객에게 합리적인 상품들을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백화점의 니트 전문 PB(자체브랜드) ‘유닛’은 2015년 9월 처음 오픈해 매년 100% 이상의 신장률을 기록하는 등 합리적인 가격대의 수준 높은 니트 의류를 찾는 고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농협은행'·'거지가 되'…Z세대의 말하기 문화?①[Z탐사대]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AI·카메라 컨트롤 기능 기대감”…아이폰16 출시 첫날 ‘북적’ [르포]
  • “나들이 가기 딱 좋네”…서울시민이 꼽은 여가활동 장소 1위는?
  • '로또보다 더 로또' 강남 분상제 아파트 잡아라…청약 경쟁 '치열'
  • 오늘부터 독감 예방접종 시작…어린이·임신부·어르신 순차 진행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300,000
    • -0.26%
    • 이더리움
    • 3,422,000
    • +0.47%
    • 비트코인 캐시
    • 458,700
    • +1.68%
    • 리플
    • 796
    • +1.4%
    • 솔라나
    • 196,800
    • -0.4%
    • 에이다
    • 477
    • +0.85%
    • 이오스
    • 698
    • +1.01%
    • 트론
    • 204
    • +0%
    • 스텔라루멘
    • 131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950
    • +1.23%
    • 체인링크
    • 15,150
    • -1.24%
    • 샌드박스
    • 382
    • +5.23%
* 24시간 변동률 기준